조플루자정20밀리그램(발록사비르마르복실)
기본정보
성상 | 흰색 또는 미황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 |
---|---|
업체명 |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19-11-22 |
품목기준코드 | 201908051 |
표준코드 | 8806450014503, 8806450014510, 8806450014527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총량 : 1정(127 밀리그램) 중-|성분명 : 발록사비르 마르복실|분량 : 2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유당수화물, 오파드라이 흰색 03A48081, 탈크, 포비돈,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유당수화물
첨가제주의사항효능효과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A형 또는 B형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인플루엔자 감염의 초기증상 발현 48시간 이내에 투여를 시작한다.)
용법용량
증상이 나타난 지 48시간 이내에 이 약을 단회 경구투여한다.
이 약은 음식물 섭취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다.
다원자가 양이온을 함유한 완하제, 제산제 또는 철, 아연, 셀레늄,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한 경구 보조제는 이 약과 함께 복용하면 안 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5. 상호작용 참조).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청소년:
체중에 따라 아래 표에 따라 투여한다.
체중 (kg) |
권장 경구 용량 |
40 kg ~ < 80 kg |
40 mg |
≥ 80 kg |
80 mg |
간기능 장애 환자:
경증 (Child-Pugh class A) ~ 중등도 (Child-Pugh class B)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 이 약은 평가되지 않았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1) 이 약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대신할 수 없다. 이 약의 사용과 매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도 없다.
2) 인플루엔자 A, B 이외 감염 치료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연구되지 않았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 환자
2)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불내성(galactoseintolerance), Lapp유당분해효소결핍증(Lapplactase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흡수장애(glucose-galactose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3. 이상반응
1) 이 약의 전체적인 안전성은 17개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2109명의 시험대상자에 대한 자료에 근거한다. 총 1640명의 환자가 이 약을 투여 받은 성인 및 청소년에 대한 3개의 위약 대조 임상시험(1518T0821, 1601T0831, 1602T0832 연구)을 통합한 자료에서 이상 약물 반응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기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및 청소년, 인플루엔자와 관련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높은 환자(예: 고령자, 만성 심장 또는 호흡기 질환 환자)를 포함한다. 1334명(81.3%)은 18세 이상~64세 이하 성인, 209명(12.7%)은 65세 이상 성인, 97명(5.9%)은 청소년(12세 이상~18세 미만)이었다. 이 중 1440명은 이 약 40mg 및 80mg 을 투여 받았고 각각 100 명의 환자가 10mg 또는 20mg 을 투여 받았다. 고 위험 환자에서의 안전성은 기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및 청소년에서의 안전성과 유사하였다.
2) 다양한 조건에서 임상시험이 수행 되었으므로,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이상반응 비율을 다른 약의 임상시험에서의 비율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고 실제 투약 시 발생하는 비율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약의 전체적인 안전성은 3개의 위약 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1,334(81%)명의 18세에서 64세의 환자와 209(13%)명의 65세 이상 환자, 97(6%) 명의 청소년(12세 -17세)을 포함한 총 1,640명의 시험대상자에 대한 자료에 근거한다. 이 연구는 910명의 기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및 청소년 환자와 730명의 인플루엔자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환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1,440명의 환자가 권장 용량을 투여 받았다.
아래 표는 세 건의 임상에서 권장 용량을 투여 받은 성인과 청소년 시험대상자에서 인과관계와 무관하게 최소한 1% 이상 관찰된 흔한 이상반응을 나타낸다.
표1. 급성 인플루엔자 감염시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1% 이상 관찰된 이상반응의 발생률
이상반응 |
이 약 (N = 1,440) |
위약 (N = 1,136) |
설사 |
3% |
4% |
기관지염 |
3% |
4% |
오심 |
2% |
3% |
부비강염 |
2% |
3% |
두통 |
1% |
1% |
3)시판 후 조사
아래 이상반응은 이 약의 시판 후 조사에서 발견된 사항이다. 이 이상반응은 특정할 수 없는 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된 것이기 때문에, 이 약 노출과의 관계나 빈도에 대해서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전신 반응: 얼굴, 눈꺼풀 및 혀의 부종, 발음 곤란,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 반응, 아나필락시스 쇽, 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두드러기, 다형홍반
위장관계 장애: 구토, 혈리, 혈변, 대장염
정신신경계: 섬망, 이상 행동, 환각
4. 일반적 주의
1) 처방의는 이 약의 사용을 결정 할 때 인플루엔자 약물 감수성 양상 및 치료 효과에 대한 가용한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13.전문가를 위한 정보 (1)약리작용 및 (3)임상시험 정보항 참조).
2) 중증 세균 감염은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으로 시작될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와 동반할 수 있으며 또는 인플루엔자가 진행되는 동안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약은 이런 합병증을 예방할 수 없다. 처방의는 이차 세균 감염에 적절히 조치를 취하고 치료해야 한다.
3)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약물의 경우, 인과관계는 불명확하지만 투약 후에 이상행동 등의 정신신경증세를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소아·청소년에 대해서는 이상행동에 의한 추락 등 만일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인 대응으로서 본제에 의한 치료가 개시된 후에는 ①이상행동 발생의 염려가 있을 경우, ②자택에서 요양을 할 경우에는 적어도 2일 간은 소아·청소년이 혼자가 되지 않도록 환자·가족에게 설명할 것. 또한, 인플루엔자 뇌증 등에 있어서도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설명을 하여야 한다.
4) 증상발현으로부터 48시간 경과 후 투여를 시작한 환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5) 운전이나 기계 조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되지 않았다.
5. 상호작용
1) 다원자가 양이온을 함유한 약물은 이 약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 약의 치료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다원자가 양이온을 함유한 완하제, 제산제 또는 철, 아연, 셀레늄,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한 경구 보조제는 이 약과 함께 복용하면 안 된다.
2) 이 약 또는 활성대사체(발록사비르)에 대한 다른 약물의 영향:
① P-gp의 억제제인 이트라코나졸은 발록사비르의 Cmax 및 AUC0-inf 을 각각 1.33배, 1.23배 증가시켰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② UGT 효소의 억제제인 프로베네시드는 발록사비르의 Cmax 및 AUC0-inf 을 각각 21%, 25% 감소시켰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3) 다른 약물에 대한 이 약 또는 활성대사체(발록사비르)의 영향:
①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농도의 in vitro 연구에서 이 약, 활성대사체(발록사비르)는 다음의 CYP 또는 UGT 계열의 동질 효소를 억제하지 않았다: CYP1A2, CYP2B6, CYP2C8, CYP2C9, CYP2C19, CYP2D6, CYP3A4, UGT1A1, UGT1A3, UGT1A4, UGT1A6, UGT1A9, UGT2B7, UGT2B15).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농도의 in vitro 연구에서 이 약 및 발록사비르는 CYP1A2, CYP2B6, CYP3A4에 대한 의미있는 유도를 야기하지 않았다.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농도의 in vitro 수송체 연구에서 이 약 및 발록사비르는 유출 수송체(P-gp)를 억제하였다. 이 약은 아니지만 발록사비르는 BCRP를 억제하였다.
② 약한 in vitro 억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in vitro 수송체 연구에 근거했을 때 발록사비르와 이 수송체의 기질인 약물간 관련있는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 발록사비르는 OATP1B1, OATP1B3, OCT1, OCT2, OAT1, OAT3, MATE1, MATE2K의 in vitro 억제제로 예상되지 않는다.
③ 이 약의 단회 용량 40mg은 CYP3A4의 기질인 미다졸람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가 CYP3A의 기질인 병용 약물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④ 이 약의 단회 용량 80mg은 P-gp의 기질인 디곡신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가 P-gp의 기질인 병용 약물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⑤ 이 약의 단회 용량 80mg은 BCRP의 기질인 로수바스타틴의 Cmax 및 AUC0-inf 를 각각 18%, 17% 감소시켰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는 BCRP의 기질인 병용 약물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예상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사용한 동물 연구에서 생식능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2) 임부에 대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연구는 없다. 임부에 대한 이 약의 잠재적인 위험은 알려지지 않았다. 잠재적 이익이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상회하지 않으면 이 약은 임신 중에 투여하지 않는다.
3) 이 약은 랫드 또는 토끼에서 기형을 야기하기 않았다. 임신한 토끼에게 이 약의 고용량으로 투여했을 때 유산을 야기한 모체 독성 및 기형은 아니지만 작은 골격계 이상 발생률이 증가하였다(전문가를 위한 정보 4.독성시험 정보항 참조).
4) 분만 중 이 약의 안전한 사용은 확립되지 않았다.
5) 이 약 및 활성 대사체가 모유로 분비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mg/kg 투여했을 때 이 약 또는 대사체가 수유기 랫드의 유즙으로 분비되었다. 따라서 이 약의 수유부에 대한 이익과 유아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해서 수유를 중단할지 또는 이 약을 투여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만 12세 이상 체중이 40kg 이상인 청소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기타 질환이 없는 만 12세~17세(체중 ≥40kg) 환자 117명(이 약 76명, 위약 41명)과 인플루엔자 관련 합병증 위험이 높은 만 12세~17세(체중 ≥40kg) 환자 38명(이 약 21명, 위약 17명)에서 평가되었다. 만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성인에서와 유사하였다.
만 12세 미만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인플루엔자 관련 합병증 위험이 높은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대상자의 약 29%가 만 65세 이상 환자였다. 고령자에서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오심을 제외하고 전체 집단과 유사하였다. 오심의 경우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6%로 만18~<65세 환자(1%)에서 보다 높았다.
9. 신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신기능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10. 간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11.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임상시험에서 과량투여된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2) 이 약에 대해 알려진 특별한 해독제는 없다. 과량투여 시 환자의 징후 및 증상에 근거하여 표준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이 약은 혈청 단백 결합률이 높기 때문에 투석으로 의미있게 제거될 가능성은 낮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의 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3.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1) 이 약은 전구약물로 가수분해를 통해 항인플루엔자 활성을 발휘하는 활성 대사물 발록사비르로 전환된다. 발록사비르는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 복합체의 산성중합효소(PA) 소단위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이 효소인 캡(cap) 의존성 엔도뉴클레아제(CEN)에 작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게놈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한다. 효소 억제 분석에서 발록사비르의 50% 억제 농도(IC50)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경우 1.4 ~ 3.1 nmol/L,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의 경우 4.5 ~ 8.9 nmol/L였다.
2) In vitro 및 In vivo 비임상시험에서 발록사비르는 인플루엔자 A와 B 바이러스에 대해 강력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였다. 인플루엔자 A 및 B 바이러스의 실험실 균주 및 임상 분리주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MDCK 세포 배양 분석에서 확인하였다. 발록사비르의 50% 유효 농도(EC50) 중앙값은 아형 A/H1N1 균주에 대해 0.73 nmol/L(n=31; 범위: 0.20 ~ 1.85 nmol/L), 아형 A/H3N2 균주에 대해 0.83 nmol/L(n=33; 범위: 0.35 ~ 2.63 nmol/L), B형 균주에 대해 5.97 nmol/L(n=30; 범위: 2.67 ~ 14.23 nmol/L)이었다. MDCK 세포 기반 바이러스 역가 환원 분석에서, 발록사비르의 90% 유효 농도(EC90) 값은 아형 A/H1N1 및 A/H3N2 바이러스에 대해 0.46 ~ 0.98 nmol/L, 조류 아형 A/H5N1 및 A/H7N9 바이러스에 대해 0.80 ~ 3.16 nmol/L, B형 바이러스에 대해 2.21 ~ 6.48 nmol/L 범위 내였다. 세포배양 연구에서의 항바이러스 활성과 사람에서의 임상적 반응 사이에서의 관계는 평가되지 않았다.
3) 내성
세포 배양: 발록사비르 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단계적 세포 배양을 통해 발록사비르에 감수성이 저하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분리 하였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감수성 저하는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 복합체의 산성중합효소(PA)단백질의 I38T (A/H1N1과 A/H3N2)과 E199G (A/H3N2)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나타났다.
임상 시험: 세포 배양에서 약제 투여와 관련하여 발록사비르의 감수성을 저하시키는 인플루엔자 A와 B 바이러스의 아미노산 치환이 임상시험에서도 관찰되었다(표 1). 임상 1, 2, 3 에서 발록사비르 감수성을 저하시키는 전체 약제투여 관련 아미노산 치환 비율은 각각 2.7% (5/182), 11% (39/370) 및 5.5%(16/290) 이었다.
표1. 발록사비르 감수성 저하와 관련된 약제 투여로 인한 산성중합효소(PA)의 아미노산 치환
인플루엔자 타입/아형 |
A/H1N1 |
A/H3N2 |
B |
아미노산 치환 |
E23K/R, I38F/N/T |
E23G/K, A37T, I38M/T, E199G |
I38T |
치료 이전에 얻은 호흡기 검체에서 확인된 바이러스 중 발록사비르에 감수성 저하를 보이는 약제 투여 관련 치환체는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바 없다. 처방의는 이 약 투여 여부를 결정 할 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약물 감수성 양상 및 치료 효과와 관련한 현재 가능한 정보를 고려하여야 한다.
교차 내성
약물간 다른 바이러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발록사비르와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 혹은 발록사비르와 M2 양성자 펌프 억제제(아만타딘 계열)사이의 교차 내성은 예상되지 않는다. 발록사비르는 뉴라미니다아제 H275Y 치환을 보이는 A/H1N1과 A/H5N1 바이러스, 뉴라미니다아제 E119V와 R292K 치환을 보이는 A/H3N2 바이러스, 뉴라미니다아제 R292K 치환을 보이는 A/H7N9 바이러스, R152K와 D198E 치환을 보유한 B형 바이러스를 포함한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에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에 유효하다.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인 오셀타미비르 역시 발록사비르에 저하된 감수성을 보이는 E23K 혹은 I38F/T PA 치환체를 가진 A/H1N1 바이러스, E23G/K, A37T, I38M/T 혹은 E199G PA 치환체를 가진 A/H3N2 바이러스 및 I38T PA치환체를 가진 B형 바이러스에 활성이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발록사비르 감수성을 저하시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PA 아미노산 치환체를 가질 수도 있고 동시에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 혹은 M2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내성 관련 치환체를 가질 수도 있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형질학적 교차내성은 밝혀진 바 없다.
(2) 약동학적 정보
1) 흡수: 이 약은 전구약물로 경구투여 시 활성대사체인 발록사비르로 전환된다. 이 약 80 mg의 단회 경구 투여 후 발록사비르의 최고 혈장 농도 도달까지의 시간(Tmax)은 공복 상태에서 약 4시간이었다. 이 약의 절대 생체이용률은 확립되지 않았다. 공복 및 식후(지방 150 kcal를 포함하여 약 400 ~ 500 kcal) 상태의 건강한 자원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여 수행한 음식-영향 시험에서 발록사비르의 Cmax와 AUC가 식후 조건에서 각각 48%와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max는 식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이 약을 음식과 함께 또는 공복에 투여한 인플루엔자 환자 대상의 임상시험에서, 임상적으로 연관된 유효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 분포: In vitro 시험에서, 인간 혈청 단백질(주로 알부민)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결합률은 92.9% ~ 93.9%였다. 이 약 80 mg의 단회 경구 투여 후 발록사비르의 겉보기 분포 용적은 백인 시험대상자에서 약 1180L, 일본인 시험대상자에서 647L였다.
3) 대사 및 배설: In vitro 시험에서, 이 약에서 발록사비르로의 전환에는 주로 위장관 내강, 장 상피 및 간의 아릴아세트아미드 디아세틸라제가 기여하며, 발록사비르는 주로 UGT1A3, 그리고 부차적으로 CYP3A4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약과 발록사비르는 인체에서 주로 대변을 통해 배설되었다.
4) 소실: 이 약의 단회 경구 투여 후 발록사비르의 겉보기 말단 소실 반감기(t1/2,z)는 백인 시험대상자에서 79.1시간, 일본인 시험대상자에서 93.9시간이었다.
5) 이 약의 단회 경구 투여 후, 발록사비르는 40 mg ~ 80 mg 용량 범위 내 공복 상태에서 선형 약동학을 보였다.
6) 소아: 만 12세 미만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약동학은 확립되지 않았다.
7) 고령자: 만 65세 이상 환자로부터 수집된 약동학 자료에서 발록사비르에 대한 약물 노출은 ≥ 만 12 ~ 64세 환자의 경우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8) 신장애 환자: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의 약동학에 대한 신장애의 영향은 평가되지 않았다. 신장애는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의 소실을 변화시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장 배설은 이 약 또는 발록사비르의 주요 소실 경로는 아니다. 집단 약동학 분석에서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 50mL/min 이상인 환자에서 신기능은 발록사비르의 약동학에 임상적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 또는 이 약의 활성대사체(발록사비르)에 대한 약동학은 평가되지 않았다.
9) 간장애 환자: 중등도 간장애(Child-Pugh class B) 환자에서 건강한 대조군 대비 발록사비르의 Cmax 및 AUC 기하평균비(90% 신뢰구간)는 각각 0.80(0.50 ~ 1.28) 및 1.12(0.78 ~ 1.61)이었다. 간 기능이 정상인 대조군 대비 중등도 간장애(Child-Pugh class B)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발록사비르의 약동학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경증 또는 중등도 간장애 환자에 대한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증 간장애 환자에서의 약동학은 평가되지 않았다.
10) 체중: 집단 약동학 분석에 기초하여, 체중은 유의한 공변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에게 제안된 용량은 체중 40 kg ~ < 80 kg 시험대상자의 경우 40 mg, ≥ 80 kg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80 mg이다.
11) 성별: 집단 약동학 분석에서, 발록사비르의 약동학에 대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성별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12) 인종: 집단 약동학 분석에서 인종은 체중과 발록사비르의 CL/F에 대한 공변량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권장용량으로 투여 시 임상적 의미있는 영향은 아니었다.
(3) 임상시험 정보
1) 시험1(1601T0831시험): 시험1은 기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및 청소년 환자(연령 ≥ 만 12세 ~ ≤ 64세, 체중 ≥ 40kg)를 대상으로 위약 또는 오셀타미비르와 비교한 이 약의 단회 경구 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다기관, 위약 및 활성 대조 임상시험이다.
총 1436명의 환자가 2016~2017년 북반구 인플루엔자 시즌에 무작위 배정되어 투여를 받았다. 환자들은 체중(각각 < 80kg 또는 ≥ 80kg)에 따라 이 약 40 mg 또는 80 mg, 위약 또는 5일간 오셀타미비르 75 mg 1일 2회(연령이 > 20세인 경우) 투여에 무작위 배정되었다. 환자는 액와 체온 38℃ 이상이고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중등도 내지 중증의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또는 코막힘) 및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중등도 내지 중증의 전신 증상(두통, 발열 또는 오한, 근육 또는 관절통증, 또는 피로)이 있었으며 인플루엔자 증상 발현 48시간 이내 치료받았다. 무작위 배정된 환자의 연령 중앙값은 34세(범위 만 12~64세)였고 만 20세 이하는 11%였으며 78%가 아시아인이었고, 남성은 54%, 여성은 46%였다. 유효성 분석은 무작위 배정된 1436명 중 RT-PCR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확진된 환자 1062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이 약 투여군 455명, 위약 투여군 230명, 오셀타미비르 투여군 377명). 유효성 분석군에서 A/H3 아형은 90%, B형은 9%, A/H1N1 아형은 2%였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7가지 증상(기침, 인후통, 코막힘, 두통, 발열 또는 오한, 근육 또는 관절통증 또는 피로) 해소까지의 시간이었다. 1차 유효성 평가 결과 이 약은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표2 참조).
표 2. 기타 질환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서 증상 해소까지의 시간(이 약 vs 위약)
증상 해소까지의 시간 (중간값[시간]) |
|||
이 약40/80 mg (95% CI) N=455 |
위약 (95% CI) N=230 |
이 약과 위약 간의 차이 (차이에 대한 95% CI) |
P-value |
53.7 (49.5, 58.5) |
80.2 (72.6, 87.1) |
-26.5 (−35.8, −17.8) |
< 0.0001 |
CI: 신뢰구간 |
만 20세 이상 환자에서 이 약 투여군을 오셀타미비르군과 비교했을 때는 증상 해소까지의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53.5시간 vs 53.8시간) (표 3 참조).
표 3. 기타 질환이 없는 건강한 환자(≥ 만 20세)에서 증상 해소까지의 시간(이 약 vs 오셀타미비르)
증상 해소까지의 시간 (중간값[시간]) |
|||
이 약 40/80 mg (95% CI) N=375 |
오셀타미비르 (95% CI) N=377 |
이 약과 오셀타미비르 간의 차이 (차이에 대한 95% CI) |
P-value |
53.5 (48.0, 58.5) |
53.8 (50.2, 56.4) |
-0.3 (−6.6, 6.6) |
0.7560 |
CI: 신뢰구간 |
2) 시험2(1602T0832 시험): 시험2는 인플루엔자 관련 합병증(예: 천식 또는 만성 폐질환, 내분비장애, 심장 질환, 연령 ≥ 만 65세, 대사장애, 병적 비만) 위험이 높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성인 및 청소년 시험대상자(연령 ≥ 만 12 세, 체중 ≥ 40kg)를 대상으로 위약 또는 오셀타미비르 대비 이 약 단회 경구 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다기관, 위약 및 활성 대조 임상시험이다.
총 2182명의 환자가 체중에 따라 이 약 40 mg 또는 80 mg(체중 40 ~ < 80 kg 환자의 경우 40 mg, 체중 ≥ 80 kg 환자의 경우 80 mg 투여) 경구 단회 투여, 오셀타미비르 75 mg 5일간 1일 2회 투여, 또는 위약 투여에 무작위 배정되었다. 환자는 액와 체온 38℃ 이상이고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중등도 내지 중증의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또는 코막힘) 및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중등도 내지 중증의 전신 증상(두통, 발열 또는 오한, 근육 또는 관절통증, 또는 피로)가 있었으며 인플루엔자 증상 발현 48시간 이내 치료받았다. 무작위 배정된 환자의 연령 중앙값은 52세(범위 만 12~93세)였고 만 18세 이하는 3%였으며 28%가 아시아인이었고, 남성은 43%, 여성은 57%였다. 유효성 분석은 무작위 배정된 2182명 중 RT-PCR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확진된 환자 115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이 약 투여군 385명, 위약 투여군 385명, 오셀타미비르 투여군 388명). 유효성 분석군에서 A/H3 아형은 50%, B형은 43%, A/H1N1 아형은 7%였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7가지 증상(기침, 인후통, 코막힘, 두통, 발열 또는 오한, 근육 또는 관절통증 또는 피로) 개선(새로운 증상의 해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악화된 기존 증상의 개선)까지의 시간이었다. 1차 유효성 평가 결과 이 약은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표4 참조).
표 4.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까지의 시간(이 약 vs 위약)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까지의 시간 (중간값[시간]) |
|||
이 약 40/80 mg (95% CI) N=385 |
위약 (95% CI) N=385 |
이 약과 위약 간의 차이 (차이에 대한 95% CI) |
P-value |
73.2 (67.5, 85.1) |
102.3 (92.7, 113.1) |
-29.1 (−42.8, −14.6) |
< 0.0001 |
CI: 신뢰구간 |
이 약을 오셀타미비르군과 비교했을 때, 증상 개선까지의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73.2시간 vs 81.0시간) (표 5 참조).
표 5.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까지의 시간(이 약 vs 오셀타미비르)
인플루엔자 증상 개선까지의 시간 (중간값[시간]) |
|||
이 약 40/80 mg (95% CI) N=385 |
오셀타미비르 (95% CI) N=388 |
이 약과 오셀타미비르 간의 차이 (차이에 대한 95% CI) |
P-value |
73.2 (67.5, 85.1) |
81.0 (69.4, 91.5) |
-7.7 (−22.7, 7.9) |
0.8347 |
CI: 신뢰구간 |
(4) 독성시험 정보
1) 발암성: 이 약에 대한 발암성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2) 유전 독성: 이 약 및 그 활성대사체인 발록사비르는 박테리아 복귀 돌연변이 시험, 배양한 포유류 세포를 이용한 소핵 시험에서 음성이었으며, 이 약은 in vivo 설치류 소핵 시험에서 음성이었다.
3) 수태능 장애: 이 약은 AUC0-24hr 기준 인체 노출량의 5배에 해당하는 최대 1000 mg/kg/day 용량으로 수컷 및 암컷 랫드에 경구로 투여했을 때 수태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생식 독성: 이 약은 랫드나 토끼에서 기형을 유발하지 않았다. 임신 제6일부터 17일까지 매일 투여한 랫드 대상의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에 대한 경구 배태아 발생 시험에서 AUC0-24hr 기준 인체 노출량의 5배에 해당하는 시험한 최고 용량인 1000 mg/kg/day까지 모체 또는 태아 독성에 대한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끼에서, 1000 mg/kg/day 용량 수준은 모체 독성을 유발하여 19마리 중 2마리에서 유산을 초래했으며, 골격 변이(경추 늑골)가 있는 태아 발생률을 증가시켰으나 기형은 유발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소한 골격 변이는 인접 경추 돌기 성장 중 재흡수된다. 토끼에서 100 mg/kg/day 용량(AUC0-24hr 기준 인체 노출량의 7배와 동등)에서 유해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랫드 대상 출생 전후 시험에서 모체 AUC0-24hr 기준 인체 노출량의 5배에 해당하는 시험한 최고 용량인 1000 mg/kg/day까지 어미와 새끼에서 약물과 관련한 유해 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단일/복합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 DUR유형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유당 | DUR유형 첨가제주의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24 개월 |
재심사대상 | 재심사대상(6년) [2019-11-22 - 2025-11-21] |
RMP대상 |
RMP대상
|
포장정보 | 내수용 - 2정/상자[(2정/PTP X1)], 내수용 - 4정/상자[(4정/PTP X1)] |
보험약가 |
(주)한국로슈의 주요제품 목록(50건)
조플루자정20밀리그램(발록사비르마르복실)
일반의약품
2019.08.05
티쎈트릭주(아테졸리주맙)
일반의약품
2017.00.26
알레센자캡슐150밀리그램(알렉티닙염산염)
일반의약품
2016.06.29
타미플루현탁용분말6mg/ml(인산오셀타미비르)
일반의약품
2016.00.24
코텔릭정20밀리그램(코비메티닙)
일반의약품
2015.07.28
페가시스프리필드주90마이크로그램(페그인터페론알파-2에이)
일반의약품
2015.03.28
맙테라피하주사(리툭시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4.04.28
가싸이바주(오비누투주맙, 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4.04.31
허셉틴피하주사600밀리그램(트라스투주맙)
일반의약품
2014.02.19
허셉틴주440밀리그램(트라스투주맙)
일반의약품
2014.00.28
캐싸일라주160밀리그램(트라스투주맙엠탄신)
일반의약품
2014.00.28
캐싸일라주100밀리그램(트라스투주맙엠탄신)
일반의약품
2014.00.28
퍼제타주(퍼투주맙)
일반의약품
2013.07.28
에리벳지캡슐150밀리그램(비스모데깁)
일반의약품
2013.06.15
셀셉트현탁용분말1g/5ml(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
일반의약품
2013.01.28
젤보라프정240밀리그램(베무라페닙)
일반의약품
2012.06.22
페가시스주180마이크로그램프로클릭(페그인터페론알파-2에이)
일반의약품
2012.05.09
페가시스주135마이크로그램프로클릭(페그인터페론알파-2에이)
일반의약품
2012.05.09
미쎄라프리필드주 30mcg/0.3ml(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에포에틴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3
미쎄라프리필드주360μg/0.6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3
미쎄라프리필드주12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2
미쎄라프리필드주6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2
미쎄라프리필드주 40mcg/0.3ml(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2
미쎄라프리필드주25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11.22
발싸이트액제용분말(발간시클로버)
일반의약품
2008.10.22
미쎄라프리필드주20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09.10
미쎄라프리필드주15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09.10
미쎄라프리필드주10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09.09
미쎄라프리필드주75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09.09
미쎄라프리필드주50μg/0.3mL(메톡시폴리에칠렌 글리콜-에포에틴 베타)
일반의약품
2008.09.09
타미플루캡슐45밀리그램(인산오셀타미비르)
일반의약품
2008.01.28
타미플루캡슐30밀리그램(인산오셀타미비르)
일반의약품
2008.01.28
아바스틴주(베바시주맙)
일반의약품
2007.10.28
타미플루현탁용분말 (인산오셀타미비르)
일반의약품
2007.06.28
마도파정
일반의약품
2006.11.28
본비바주(이반드론산나트륨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6.11.28
마도파정125
일반의약품
2006.10.28
로세핀주사1그람(세프트리악손나트륨)
일반의약품
2006.10.28
로칼트롤연질캡슐0.25마이크로그람(칼시트리올)
일반의약품
2006.10.28
셀셉트캡슐250밀리그램(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
일반의약품
2006.10.28
타쎄바정25밀리그램(엘로티닙염산염)
일반의약품
2006.10.28
본비바정150밀리그람(이반드론산나트륨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6.07.28
로아큐탄캡슐10밀리그람(이소트레티노인)
일반의약품
2006.03.28
타쎄바정150밀리그램(엘로티닙염산염)
일반의약품
2005.11.04
타쎄바정100밀리그램(엘로티닙염산염)
일반의약품
2005.11.04
허셉틴주150밀리그람(트라스투주맙)(단클론항체,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05.11.04
푸제온주90밀리그람/밀리리터(엔푸버타이드)
일반의약품
2004.10.07
발싸이트정450밀리그람(염산발간시클로버)
일반의약품
2004.10.07
페가시스프리필드주180마이크로그람(페그인터페론알파-2에이)
일반의약품
2003.07.28
조플루자정40밀리그램(발록사비르마르복실)
일반의약품
2019.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