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파타주프리필드펜(에볼로쿠맙)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투명 내지 유백색, 무색 내지 미황색의 주사액이 충전되어 있는 주사침이 부착된 투명 유리 프리필드시린지가 일회용 자동주입기에 장착된 제품
업체명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17-04-13
품목기준코드 201701843
표준코드 8800523000905, 8800523000912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에볼로쿠맙

총량 : 이 약 1 프리필드펜 (1.0 mL) 중|성분명 : 에볼로쿠맙|분량 : 14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숙주: CHO/DHFR- cell 벡터: pDC324_AMG 145_HC/pDC323_AMG 145_LC

첨가제 : 수산화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80, 아세트산무수물, 프롤린, 주사용수, 멸균주사침

1)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포함) 또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식이요법에 대한 보조요법으로 투여

- 최대내약용량의 스타틴으로 충분히 LDL-콜레스테롤(LDL-C)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서 스타틴 또는 스타틴과 다른 지질 저하요법과 병용 투여

- 스타틴 불내성 환자에서 이 약 단독 또는 다른 지질 저하요법과 병용 투여

2)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만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의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다른 지질저하제(스타틴, 에제티미브, 지질분리반출법 등)와 병용 투여

3)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확립된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말초 동맥 질환)을 가진 성인 환자에서 다른 위험 인자들의 교정에 대한 보조요법으로 LDL-C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심혈관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대내약용량의 스타틴 또는 스타틴과 다른 지질 저하요법과 병용 투여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에, 고지혈증 또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의 2차 원인(예, 신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제외되어야 한다.

용량

1) 성인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이 약의 권장 용량은 2주 1회 140 mg 또는 월1회 420 mg 이다; 두 용량은 임상적으로 동등하다.

2) 만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의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이 약의 권장 용량은 월 1회 420 mg이다.

3) 성인의 확립된 죽상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이 약의 권장 용량은 2주 1회 140 mg 또는 월1회 420 mg 이다; 두 용량은 임상적으로 동등하다.

4) 신장애환자

경증 내지 중등도의 신장애 환자에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중증 신장애 환자 (eGFR < 30 mL/min/1.73 m2)의 경우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을 참조한다.

5)간장애환자

경증 간장애 환자에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중등도 내지 중증의 간장애 환자에 대해서는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을 참조한다.

6)고령자(만 65세 이상)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7)소아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에 대해 만 18세 미만의 소아에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활용 가능한 자료는 없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해 만 12세 미만의 소아에서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활용 가능한 자료는 없다.

이 약의 투여를 잊은 경우, 놓친 투여일에서 7일 이내이면 즉시 해당 용량을 투여하도록 하고 그 후 환자에서 원래 정해진 스케쥴을 따라 계속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놓친 투여일에서 7일이 경과한 때에는

• 2주 1회 투여 용량인 경우, 본래 예정된 다음 스케쥴까지 기다리도록 한다.

• 월 1회 투여 용량인 경우, 인지한 날 해당 용량을 투여하고 그날로부터 새로운 스케쥴을 시작하도록 한다.

투여방법

이 약은 피하로 주사한다. 복부, 허벅지 또는 상완에 피하로 투여하며, 주사부위는 번갈아 주사하고 피부가 무르거나, 멍들거나 또는 빨갛거나 딱딱한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이 약은 정맥 또는 근육주사 하지 않는다.

140 mg의 용량은 단일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을 사용하여 투여 되어야 한다. 420 mg 의 용량은 3개의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을 사용하여 30분 이내에 연속하여 투여해야 한다.

이 약은 적절한 교육을 실시한 후에 환자가 자가 투여 하도록 한다. 또한 이 약 투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자가 투여를 할 수 있다.

각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은 1회용이다.

투여 방법에 대해, 제품 포장에 동봉된 "사용설명서"를 참고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주성분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신장애환자

중증의 신장애환자(eGFR < 30 mL/min/1.73 m2)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중증의 신장애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간장애환자

중등도의 간장애환자에서 이 약의 총 노출감소가 관찰되어 LDL-C 저하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군에서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중증의 간장애환자(Child-Pugh C)에 대해 연구된바 없다. 중증의 간장애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건조천연고무

유리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의 주사침 커버는 건조천연고무(라텍스유도체)로 만들어져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나트륨함량

이 약은 용량별 1 mmol 나트륨(23 mg) 미만을 함유하고 있다. 즉, 이는‘나트륨-프리’에 해당된다.

3. 약물이상반응

안전성 프로파일 요약

주요 임상시험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사례는 비인두염(7.4 %), 상기도 호흡기 감염(4.6 %), 요통(4.4 %), 관절통(3.9 %), 인플루엔자(3.2 %) 및 주사부위반응(2.2 %)이었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군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군에서 나타난 것과 일치하였다.

이상사례 요약표

주요 대조군 임상시험 및 자발보고에서 보고된 이상사례는 시스템 기관계 및 빈도에 따라 표1에 나타내었다; 매우 흔하게(≥1/10), 흔하게(≥1/100 ~ < 1/10), 흔하지 않게(≥1/1,000 ~ < 1/100), 드물게(≥1/10,000 ~ < 1/1,000) 및 매우 드물게(< 1/10,000).

표1. 이상사례 목록

감염

인플루엔자

흔하게

비인두염

흔하게

상기도감염

흔하게

면역계 장애

발진

흔하게

두드러기

흔하지 않음

위장관계 장애

오심

흔하게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혈관부종 드물게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장애

등통증

흔하게

관절통

흔하게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이상

주사부위반응

흔하게

선별된 이상사례의 설명

주사부위반응

가장 흔한 주사부위 반응은 주사부위 멍, 홍반, 출혈, 주사부위 통증 및 부종이었다.

면역원성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최소 1회 용량을 투여 받은 환자의 0.3% (17,992명의 환자 중 48명)에서 결합 항체 형성에 양성을 보였다(이 중 4명은 일시적인 항체를 가짐). 결합 항체에 대해 양성을 보인 환자는 이후 중화항체에 대해 평가되었으며, 중화항체에 대해 양성인 환자는 없었다. 항-에볼로쿠맙 결합 항체의 존재는 이 약의 약동학 양상, 임상반응 또는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일반적주의

이 약이 운전 및 기계 사용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

5.상호작용

이 약에 대해서 공식적인 약물-약물 상호작용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이 약과 스타틴 간 약동학 상호작용이 이 약의 주요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다. 스타틴 병용투여 환자에서 이 약의 청소율이 약 20%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청소율의 증가는 스타틴의 전단백질 전환효소 서브틸리신/케신9형(PCSK9) 농도 증가 효과에 따른 것이며, 이는 지질에 대한 이 약의 약력학적 효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약과 병용투여 시 스타틴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이 약과 에제티미브 및 스타틴 이외의 다른 지질저하제 사이에 약동학 및 약력학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6. 임부, 수유부 및 가임여성에 대한 투여

임부

임신 여성에서 이 약 사용에 대한 자료는 없거나 제한적이다.

동물 생식독성 연구는 임신과 신생자 발생에 대한 직간접적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환자의 임상적 상태가 이 약의 투여를 요구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약을 임신 기간 동안 투여하지 않는다.

수유부

이 약이 모유로 이행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수유중인 신생아/유아에 미치는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약 치료의 유익성 및 수유의 유익성을 고려하여 수유중단 또는 이 약 치료 중단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수태능

이 약이 인간의 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는 없다. 동물 연구에서는 월 1회 이 약 420 mg을 투여 받은 환자보다 높은 노출의 농도 시간 곡선 하 면적(AUC) 수태능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나타내지 않았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 이 약의 사용경험은 제한적이다. 만 12세 이상 ~ 만 18세 미만의 14명의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가 임상시험에 포함되었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 환자와 소아 환자 사이에 안전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의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에서 총 18,546 명의 환자 중 만 65세 이상이 7,656 (41.3%), 만 75세 이상이 1,500 (8.1%) 이었다. 이 연령대의 환자군과 이보다 젊은 연령대의 환자군 사이에 안전성 또는 유효성의 전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월 1회 이 약 420 mg을 투여 받는 환자의 최대 300배 높은 용량 노출로 실시한 동물연구에서 관찰된 이상사례는 없었다.

이 약의 과량투여에 대한 특별한 처치는 없다. 과량투여의 경우 환자는 증상에 대한 처치를 하고, 필요시 지지요법을 실시한다.

10. 적용상의 주의

이 약의 투여를 위해서, 제품설명서의‘프리필드펜 (프리필드시린지) 사용설명서’를 참고한다.

이 약은 적절한 교육 후에 환자가 자가 투여하도록 한다. 또한 이 약 투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자가 투여를 할 수 있다.

각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은 1회용이다.

투여 전에 용액을 검사해야 한다. 입자를 포함하거나 혼탁 또는 변색되었다면 용액을 주사하지 않는다.

호환성 연구가 없으므로 이 약을 다른 제제와 혼합해서는 안된다.

주사 부위가 불편하지 않도록, 주사 전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을 실온(최대25°C)에 둔다. 프리필드펜(프리필드시린지)의 모든 용량을 한 번에 주사한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냉장보관하며(2°C – 8°C), 얼려서는 안된다.

차광을 위해 이 약을 원래의 포장에 보관하도록 한다.

이 약을 냉장고에서 꺼내면 원래의 약물 포장 상자 그대로 실온(최대25°C)에 보관하며 30일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12.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력학적특성

작용기전

에볼로쿠맙은 PCSK9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순환하는 PCSK9가 간세포 표면의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LDLR)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PCSK9로 인한 LDLR 분해를 방지한다. 간 LDLR  수치가 증가함으로써 혈청 LDL-콜레스테롤(LDL-C) 수치는 감소하게 된다.

약력학적효과

임상시험에서, 이 약은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비결합 PCSK9, LDL-C, 총 콜레스테롤(TC), 아포지단백B(ApoB), 비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non-HDL-C), TC/HDL-C, ApoB/ApoA1, 초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VLDL-C), TG 및 지단백(a)(Lp(a))을 감소시켰고 HDL-C 및 ApoA1을 증가시켰다.

이 약 140 mg 또는 420 mg의 단회 피하투여는 4시간까지 순환하는 비결합 PCSK9의 최대 억제를 보이고 이후 각 14일 및 21일 반응에서 평균 최저점에 도달하는 LDL-C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비결합 PCSK9  및 혈청 지단백의 변화는 이 약 투여 중단 시 가역적이었다. 이 약  휴약기 동안 베이스라인을 초과하는 비결합 PCSK9 또는LDL-C 는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투여기 동안 PCSK9  및 LDL-C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보상기전이 발생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2주 1회 140 mg 및 월 1회 420 mg의 피하 투여 요법은 평균 LDL-C  저하(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에서 동등하였으며,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베이스라인 대비 -72 ~ -57 %의 결과를 보였다. 이 약의 단독요법 또는 다른 지질 저하제와의 병용요법 시 유사한 LDL-C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원발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에서 임상적 효과

이 약 투여 후 빠르면 1주 만에 약 55~75 %의 LDL-C  감소에 도달하였고 이는 장기 투여 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2주 1회 140 mg 및 월 1회 420 mg을 투여한 후 최대 반응은 일반적으로 1 ~ 2주 내에 나타났다. 이 약은 모든 하위군에서 위약 및 에제티미브 대비 효과적이었고, 연령, 인종, 성별, 지역, 체질량지수, 국가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위험(NCEP risk), 현재 흡연 여부, 베이스라인 관상동맥 심장질환(CHD) 위험요인, 조기 CHD의 가족력, 글루코오스내성(즉, 2형 당뇨병, 대사증후군,  또는 둘 모두 아님), 고혈압, 스타틴 용량 및 강도, 베이스라인 비결합 PCSK9,  베이스라인 LDL-C 및 베이스라인 TG와 같은 하위군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느 한 용량으로 치료한 모든 일차 고지혈증환자의 80 ~ 85 %에서 이 약은 10주째 및 12주째 평균으로 측정한 LDL-C 수준이 50% 이상 감소함을 입증하였다. 10주째 및 12주째 평균으로서 이 약의 두 가지 용량 중 하나로 투여한 환자의 최대 99%가 2.6 mmol/L  미만의 LDL-C을 달성했고, 최대 95%가 1.8 mmol/L  미만의 LDL-C을 달성했다.

이 약과 스타틴과의 병용, 다른 지질저하제 및 스타틴과의 병용 투여

LAPLACE-2는 스타틴(로수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또는 아토르바스타틴)과 이 약을 병용투여 하도록 무작위 배정된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 1,896 명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12 주 임상시험이다.  로수바스타틴 또는 심바스타틴을 병용 투여한 경우 위약군과 이 약 투여군을 비교하였고, 아토르바스타틴을 병용 투여한 경우 에제티미브 투여군 및 위약 투여군을 이 약 투여군과 비교하였다.

로수바스타틴과 심바스타틴을 병용하는 경우 이 약은 위약에 비해 베이스라인 대비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VLDL-C, TG 및 Lp (a)의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HDL-C를 증가시켰다(p < 0.05). 아토르바스타틴을 병용하는 경우 이 약은 위약과 에제티미브 투여군에 비해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및 Lp(a) 를 유의하게 감소 시켰다(p < 0.001). (표2 및 3 참조)

RUTHERFORD-2는 지질 저하 요법을 받고 있는 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환자 329 명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12 주임상시험이다. 이 약은 위약과 비교하여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으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LDL-C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01). 이 약은 위약과 비교하여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으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VLDL-C, TG 및Lp (a)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HDL-C와 ApoA1을 증가시켰다(p < 0.05) (표2 참조).

표2.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위약과 비교한 이 약의 치료효과 –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으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백분율 변화(%, 95% CI)

임상시험

투여

요법

LDL-C

(%)

Non-HDL-C

(%)

ApoB

(%)

TC

(%)

Lp(a)

(%)

VLDL-C

(%)

HDL-C

(%)

TG

(%)

ApoA1

(%)

TC/

HDL-C Ratio

%

ApoB/

ApoA1 Ratio

%

LAPLACE-2

(HMD)

(로수바스타틴, 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병용투여)

140 mg Q2W (N = 555)

-72b

(-75,-69)

-60b

(-63,-58)

-56b

(-58,-53)

-41b

(-43,-39)

-30b

(-35,-25)

-18b

(-23,-14)

6b

(4,8)

-17b

(-22,-13)

3b

(1,5)

-45b

(-47,-42)

-56b

(-59,-53)

420 mg QM (N = 562)

-69b

(-73,-65)

-60b

(-63,-57)

-56b

(-58,-53)

-40b

(-42,-37)

-27b

(-31,-24)

-22b

(-28,-17)

8b

(6,10)

-23b

(-28,-17)

5b

(3,7)

-46b

(-48,-43)

-58b

(-60,-55)

RUTHERFORD-2

(HeFH)

140 mg Q2W (N = 110)

-61b

(-67,-55)

-56b

(-61,-51)

-49b

(-54,-44)

-42b

(-46,-38)

-31b

(-38,-24)

-22b

(-29,-16)

8b

(4,12)

-22b

(-29,-15)

7a

(3,12)

-47b

(-51,-42)

-53

(-58,-48)

420 mg QM (N = 110)

-66b

(-72,-61)

-60b

(-65,-55)

-55b

(-60,-50)

-44b

(-48,-40)

-31b

(-38,-24)

-16b

(-23,-8)

9b

(5,14)

-17b

(-24,-9)

5a

(1,9)

-49b

(-54,-44)

-56b

(-61,-50)

약어: Q2W = 2 주1 회, QM = 월1 회, HMD =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HeFH = 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a위약과 비교 시 p 값< 0.05. b위약과 비교 시p 값< 0.001

스타틴 불내성 환자

GAUSS-2는 스타틴에 불내성 또는 스타틴의 유효 용량에 불내성인 환자 307 명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에제티미브-대조, 12 주 임상시험이다. 이 약은 에제티미브와 비교하여 LDL-C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01). 이 약은 에제티미브와 비교하여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으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TC, ApoB, non-HDL-C, TC/HDL-C, ApoB/ApoA1 및 Lp (a)를 유의하게 감소 시켰다(p < 0.001) (표3 참조).

스타틴 병용 없이 이 약 단독 투여

MENDEL-2는 614 명의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 및 에제티미브-대조, 12 주 임상시험이다.  이 약은 위약 및 에제티미브와 비교하여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치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LDL-C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01). 이 약은 위약 및 에제티미브와 비교하여 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치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및 Lp (a)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01). (표3 참조).

표3.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의 에제티미브와 비교한 이 약의 치료효과–10주째 및 12주째의 평균으로서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백분율 변화(%, 95% CI)

임상시험

투여요법

LDL-C

(%)

Non-HDL-C

(%)

ApoB

(%)

TC

(%)

Lp(a)

(%)

VLDL-C

(%)

HDL-C

(%)

TG

(%)

ApoA1

(%)

TC/

HDL-C Ratio

%

ApoB/

ApoA1 Ratio

%

LAPLACE-2

(HMD)

 

(아토르바스타틴병용군)

140 mg Q2W (N = 219)

-43c

(-50, -37)

-34c

(-39, -30)

-34c

(-38, -30)

-23c

(-26, -19)

-30c

(-35, -25)

-1

(-7, 5)

7c

(4, 10)

-2

(-9, 5)

7c

(4, 9)

-27c

(-30, -23)

-38c

(-42, -34)

420 mg QM (N = 220)

-46c

(-51, -40)

-39c

(-43, -34)

-40c

(-44, -36)

-25c

(-29, -22)

-33c

(-41, -26)

-7

(-20, 6)

8c

(5, 12)

-8

(-21, 5)

7c

(2, 11)

-30c

(-34, -26)

-42c

(-47, -38)

GAUSS-2

(스타틴불내성)

140 mg Q2W (N = 103)

-38b

(-44, -33)

-32b

(-36, -27)

-32b

(-37, -27)

-24b

(-28, -20)

-24b

(-31, -17)

-2

(-10, 7)

5

(1, 10)

-3

(-11, 6)

5a

(2, 9)

-27b

(-32, -23)

-35b

(-40, -30)

420 mg QM (N = 102)

-39b

(-44, -35)

-35b

(-39, -31)

-35b

(-40, -30)

-26b

(-30, -23)

-25b

(-34, -17)

-4

(-13, 6)

6

(1, 10)

-6

(-17, 4)

3

(-1, 7)

-30b

(-35, -25)

-36b

(-42, -31)

MENDEL-2

(스타틴 병용 없이 이 약 단독 투여)

140 mg Q2W

(N = 153)

-40b

(-44, -37)

-36b

(-39, -32)

-34b

(-37, -30)

-25b

(-28, -22)

-22b

(-29, -16)

-7

(-14, 1)

6a

(3, 9)

-9

(-16, -1)

3

(0, 6)

-29b

(-32, -26)

-35b

(-39, -31)

420 mg QM

(N = 153)

-41b

(-44, -37)

-35b

(-38, -33)

-35b

(-38, -31)

-25b

(-28, -23)

-20b

(-27, -13)

-10

(-19, -1)

4

(1, 7)

-9

(-18, 0)

4a

(1, 7)

-28b

(-31, -24)

-37b

(-41, -32)

약어: Q2W = 2 주1 회, QM = 월1 회, HMD =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성 이상지질혈증, a에제티미브와 비교 시 p < 0.05, b에제티미브와 비교 시 p 값< 0.001, c에제티미브와 비교 시 명목 p 값< 0.001.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에서의 장기유효성

DESCARTES는 식이요법 단독,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아토르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의 병용요법을 투여 받은 고지혈증 환자 901 명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52 주임상시험이다.  이 약 월 1회 420 mg은 52 주에 베이스라인 대비 LDL-C를 위약보다 유의하게 감소 시켰다(p < 0.001). 치료효과는 12 주에서 52 주까지의 LDL-C  감소로 입증된 바와 같이 1 년 이상 지속되었다.  위약과 비교하여 52주에 베이스라인 대비 LDL-C의 감소는 LDL-C 및 심혈관계 위험에 최적화된 지질 저하 요법들에서 일관 되게 나타났다.

이 약은 위약과 비교하여 52주에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VLDL-C, TG 및 Lp (a)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HDL-C 및 ApoA1을 증가시켰다(p < 0.001) (표4).

표4.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위약과 비교한 이 약의 치료효과- 52주까지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백분율 변화(%, 95% CI)

임상시험

투여요법

LDL-C

(%)

Non

-HDL-C

(%)

ApoB

(%)

TC

(%)

Lp(a)

(%)

VLDL-C

(%)

HDL-C

(%)

TG

(%)

Apo

A1

(%)

TC/

HDL-C Ratio

%

ApoB/

ApoA1 Ratio

%

DESCARTES

420 mg

QM

(N = 599)

-59b

(-64,

-55)

-50b

(-54,

-46)

-44b

(-48,

-41)

-33b

(-36,

-31)

-22b

(-26,

-19)

-29b

(-40,

-18)

5b

(3, 8)

-12b

(-17, -6)

3a

(1, 5)

-37b

(-40,-34)

-46b

(-50, -43)

주: QM = 월1 회, a위약과 비교 시 명목p 값< 0.001, b위약과 비교 시 p 값< 0.001.

OSLER와 OSLER-2는 ^모^시험에서 치료를 완료한 환자에서 이 약의 장기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두 건의 진행 중인 무작위 배정, 대조, 공개라벨 연장 임상시험이다. 각 연장 임상시험에서 환자는 임상시험의 첫 해 동안 이 약 + 표준치료(에볼로쿠맙군) 또는 단일 표준치료(대조군)에 2 : 1 의 비율로 무작위 배정 되었다. 첫 해가 끝날 때(OSLER 52 주 및 OSLER-2 48 주), 모든 환자는 4 년(OSLER) 또는1 년(OSLER-2) 동안 이 약을 공개 라벨로 투여 받을 수 있는 이 약 투여기에 등록될 수 있는 자격이 되었다.

총 1,324 명의 환자가 OSLER에 등록 되었다. 이 약 월 1회 420 mg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12 주째와 52 주째에 LDL-C를 베이스라인 대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nominal p < 0.001). 치료 효과는 모시험의 12 주부터 공개 라벨 연장시험의 112 주까지 LDL-C 감소로 입증된 바와 같이 124 주 동안 유지되었다. 총2,928 명의 환자가 OSLER-2에 등록 되었다. 이 약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12주에 LDL-C를 베이스라인 대비 유의하게 감소 시켰다(nominal p < 0.001). 공개 라벨 연장 임상시험에서 12 주부터 24 주까지 LDL-C 의 감소가 입증된 바와 같이 치료효과가 유지되었다. 이 약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OSLER 임상시험에서 베이스라인부터 52 주까지 그리고, OSLER-2 임상시험에서 베이스라인부터 24주까지 TC, ApoB, 비-HDL-C, TC/HDL-C, ApoB/ApoA1, VLDL-C, TG 및 Lp (a)를 유의하게 감소 시켰으며, HDL-C와 ApoA1을 증가시켰다(nominal p < 0.001). LDL-C와 다른 지질 매개변수는 OSLER 또는 OSLER-2의 시작 시점에 이 약 중단 후 12 주이내에 반등의 증거 없이 베이스라인으로 회복하였다.

TAUSSIG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포함한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다른 지질 저하 요법의 보조제로서 이 약의 장기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중인 다기관, 공개라벨, 5 년 연장 임상시험이다. 총 102 명의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와 96 명의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가 TAUSSIG 임상시험에 등록되었다. 이 임상시험에서 등록 시 2 주 420 mg 으로 시작한 분리 반출법을 받는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는 처음에 이 약 월 1회 420 mg을 투여 받았다. 비-분리반출법 환자의 투여 빈도는 LDL-C 반응과 PCSK9 수치에 근거하여 2 주에 1회 420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의 장기사용은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LDL-C의 감소로 보여진 바와 같이 지속적인 치료 효과가 입증 되었다(표5).

기타 지질 매개 변수(TC, ApoB, 비-HDL-C, TC/HDL-C 및ApoB/ApoA1)의 변화는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장기 약물 투여의 지속적인 효과를 입증하였다.

표5.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LDL-C에 대한 이 약의 효과–OLE 36주까지 베이스라인 대비 중앙값 백분율 변화

환자인구집단

(N)

OLE week 12

(n = 16)

OLE week 24

(n = 8)

OLE week 36

(n = 5)

중증FH (N = 102)

-47

-45

-48

주: OLE = 공개라벨연장, N (n) =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중간분석세트의 특정 예정 방문(n)에서 평가 가능한 환자 수(N) 및 관찰된 LDL 수치를 가진 환자 수.

지속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의 LDL-C (즉, 0.65 mmol / L 미만[25 mg/dL 미만])에 대한 장기 안전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LDL-C 수치가 0.65 mmol / L 미만인 환자와 LDL-C가 높은 환자의 안전성 프로파일 사이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입증하는 활용 가능한 자료가 있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

TESLA는 만 12 ~ 65 세의 동형접합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49 명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다기관,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12 주 임상시험이다. 다른 지질 저하제(예: 스타틴, 담즙산 결합수지)의 보조제로서 이 약 월 1 회420 mg은 위약과 비교하여 12 주에 LDL-C와 ApoB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01) (표6). 기타지질매개변수(TC, 비-HDL-C, TC/HDL-C 및 ApoB/ApoA1)의 변화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이 약 투여의 치료 효과를 입증 하였다.

표6.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위약과 비교한 이 약의 치료 효과–12주까지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백분율 변화(%, CI 95%)

임상시험

투여요법

LDL-C

(%)

Non-HDL-C

(%)

ApoB

(%)

TC

(%)

Lp(a)

(%)

VLDL-C

(%)

HDL-C

(%)

TG

(%)

TC/

HDL-C Ratio

%

ApoB/

ApoA1 Ratio

%

TESLA

(HoFH)

420 mg QM

(N = 33)

-32b

(-45, -19)

-30a

(-42, -18)

-23b

(-35, -11)

-27a

(-38, -16)

-12

(-25, 2)

-44

(-128, 40)

-0.1

(-9, 9)

0.3

(-15, 16)

-26a

(-38, -14)

-28a

(-39, -17)

주: HoFH =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QM = 월1회; a위약과 비교시 nominal p 값< 0.001; b위약과 비교 시 p 값< 0.001.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의 장기 유효성

TAUSSIG 임상시험에서, 이 약의 장기 사용은 분리반출법을 받지 않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약 20 % ~ 30 % 의 LDL-C 감소가 입증 되었으며,  분리반출법을 받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경우 약 15 % ~ 25 %의 LDL-C 감소가 입증 되었다(표7). 기타 지질 매개 변수(TC, ApoB, 비-HDL-C, TC/HDL-C 및ApoB/ApoA1)의 변화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이 약의 장기투여의 지속적인 효과를 입증하였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청소년 환자(만 12 세 이상 만 18 세 미만) 13명에서의 LDL-C 감소 및 기타 지질 매개 변수의 변화는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전체 인구 집단과 유사하다.

표7.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LDL-C에 대한 이 약의 효과–36주 까지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백분율 변화

환자인구집단(N)

OLE week 12

OLE week 24

OLE week 36

HoFH

(N = 96)

-20

(n = 70)

-23

(n = 46)

-24

(n = 30)

비-분리반출법

(N = 65)

-22

(n = 46)

-24

(n = 33)

-24

(n = 27)

분리반출법

(N = 31)

-17

(n = 24)

-20

(n = 13)

-21

(n = 3)

주: OLE = 공개라벨연장. N (n) = HoFH 중간분석세트의 특정 예정 방문(n)에서 평가 가능한 환자 수(N) 및 관찰된 LDL 수치를 갖는 환자 수.

죽상경화성 질병 부담에 대한 효과

혈관 내 초음파(IVUS)로 측정한, 이 약 월 1회 420 mg 투여의 죽상동맥경화성 질병 부담에 대한 효과는 안정된 최적의 스타틴 요법을 받는 관상 동맥 질환 환자 968명에서 78주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군 시험에서 평가 되었다. 이 약은 위약대조군과 비교하여 죽상종용적비율(PAV; 1.01% [95% CI 0.64, 1.38], p < 0.0001) 및 총죽상종용적(TAV; 4.89 mm3[2.53,7.25],p<0.0001)을 감소시켰다. PAV으로 측정한 죽상경화증의 퇴행은 이 약 또는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각각 64.3% (95% CI 59.6, 68.7) 및 47.3% (95% CI 42.6, 52.0)에서 관찰 되었다. TAV 으로 측정 시 이 약 또는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 중 61.5% (95% CI 56.7, 66.0) 및 48.9% (95% CI 44.2, 53.7)에서 각각 관찰 되었다. 퇴행을 입증하는 환자의 비율은 위약 투여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이 시험에서 죽상경화성 질환의 퇴행 및 심혈관계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는 밝히지 않았다.

확립된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성인 환자에서 심혈관계 위험의 감소

이 약의 임상시험(FOURIER)은 만 40 ~ 86 세(평균연령 만 62.5 세)의 확립된 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을 가진 27,564 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무작위 배정, 이벤트 구동형(event-driven),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이다; 81 %는 이전에 심근경색을 경험하였고, 19 %는 이전에 뇌졸중을 경험하였고, 13 %는 말초동맥질환이 있었다. 99 % 이상의 환자가 중등 내지 고강도의 스타틴 및 항혈소판제, 베타차단제, ACE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심혈관계 약물을 투여하였다; 베이스라인 LDL-C의 중앙값(Q1, Q3) 은 2.4 mmol/L (2.1, 2.8)이었다. 이벤트 지표에 더해, 모든 환자가 최소 1 개의 주요 심혈관계 위험인자 또는 2 개의 경미한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어, 절대 CV 위험도 측면에서도 투여 그룹 간에 균형을 이루었다; 80 %는 고혈압, 36 %는 당뇨 환자였고, 28 %는 매일 흡연하는 사람이었다. 환자는 이 약(2 주 1회 140 mg 또는 월 1 회 420 mg) 또는 위약에 1:1로 무작위 배정 되었다;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26 개월 이었다.

임상시험 전반에 걸쳐 LDL-C의 실질적인 감소가 관찰 되었으며, 각 평가 시 LDL-C 범위 중앙값은 0.8 ~ 0.9 mmol/L이었다. 환자의 25 %는 0.5 mmol/L 미만의 LDL-C 농도에 도달하였다. 매우 낮은 수치의 LDL-C 도달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새로운 당뇨병 및 인지 관련 사건의 빈도는 LDL-C 수치가 0.65 mmol/L 미만인 환자와 LDL-C 수치가 높은 환자에서 유사하였다.

이 약은 최초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까지의 시간, 심근경색, 뇌졸중, 관상동맥 재관류술 또는 불안정협심증으로 인한 입원으로 정의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표8 참조); 일차 및 주요 이차 복합 평가변수에 대한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곡선은 약 5 개월에서 분리되었으며 절대 위험 감소의 규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 하였다(그림1. MACE 3 년Kaplan Meier 곡선참조). 객관적인 MACE 복합 상대 위험도는 20 %까지 감소하였다. 베이스라인 이후 하위그룹의 탐색적 랜드마크 분석에서 1 차년도 이후의 일차 및 이차 종합 평가변수에 대한 이 약의 상대 위험 감소는 치료 첫 해에 관찰된 것 보다 컸다. 치료 효과는 모든 하위 그룹(연령, 질병유형, 베이스라인LDL-C, 베이스라인 스타틴 강도, 에제티미브 사용 및 당뇨병 포함)에서 일관성이 있었으며 심근경색, 뇌졸중 및 관상동맥 재관류술의 위험 감소가 원인 이었다; 전반적인 심혈관계 사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임상시험은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표8. 이 약의 주요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효과

 

위약

(N=13,780)

n(%)

이 약

(N=13,784)

n(%)

위험비

(95% CI)a

p 값b

MACE+ (MACE 관상동맥 재관류술, 또는 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한 입원의 복합)

1,563 (11.34)

1,344 (9.75)

0.85

(0.79, 0.92)

< 0.0001

MACE (심혈관계 사망, 심근경색, 또는뇌졸중의복합)

1,013 (7.35)

816 (5.92)

0.80

(0.73, 0.88)

< 0.0001

심혈관계사망

240 (1.74)

251 (1.82)

1.05

(0.88, 1.25)

0.62

모든 원인의 사망

426 (3.09)

444 (3.22)

1.04

(0.91, 1.19)

0.54

심근경색(치명적/비치명적)

639 (4.64)

468 (3.40)

0.73

(0.65, 0.82)

< 0.0001c

뇌졸중(치명적/비치명적)

262 (1.90)

207 (1.50)

0.79

(0.66, 0.95)

0.0101c

관상동맥 재관류술

965 (7.00)

759 (5.51)

0.78

(0.71, 0.86)

< 0.0001c

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한 입원d

239 (1.7)

236 (1.7)

0.99

(0.82, 1.18)

0.89

aIVRS를 통해 수집된 무작위 층화 요인에 의해 계층화된 Cox 모델 기반.

bIVRS를 통해 수집된 무작위 층화 요인에 의해 계층화된 2-sided log-rank test.

c명목유의성.

d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한 입원까지의 시간 평가는 사후 시행됨.

그림1. MACE 사례(심혈관계사망,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복합)까지의 시간; 3 년 카플란마이어(Kaplan Meier)

소아집단

소아 집단에 대한 이 약의 사용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만 12세 이상 만 18세 미만의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청소년 환자 14명이 이 약의 임상시험에 포함되었다. 청소년과 성인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사이에 안전성 또는 유효성에서 전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약동학적특성

흡수 및 분포

건강한 성인에게 이 약 140 mg 또는 420 mg을 단회 피하 투여한 후 3 ~ 4일 내에 최대 혈청 농도 중간값에 도달하였다. 140 mg 단회 피하 투여 시 평균 Cmax(SD)는 13.0(10.4) μg/mL 이었고, 평균 AUClast(SD)는 96.5 (78.7) day·μg/mL 이었다. 420 mg 단회 피하 투여 시 평균 Cmax(SD)는 46.0(17.2) μg/mL 이었고, 평균 AUClast(SD)는 842(333) day·μg/mL 이었다. 3회의 피하 용량 140 mg은 단회 피하 용량 420 mg과 생물학적으로 동등하였다. 약동학모델에서 피하 투여 후 절대 생체 이용률은 72 %로 측정되었다.

이 약 420 mg의 단회 정맥 투여 후 정상 상태에서의 평균(SD) 분포용적은 3.3(0.5) L로 추정되며 이는 이 약이 제한된 조직 분포를 보임을 나타낸다.

생체 내 변환

이 약은 천연 면역 글로불린으로써 아미노산 및 탄수화물로만 구성되며, 간 대사 메커니즘을 통하여 배설되는 것 같진 않다. 대사 및 배설은 작은 펩타이드 및 개개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면역 글로불린 제거 경로를 따를 것으로 예상한다.

배설

이 약의 유효 반감기는 11 ~ 17일로 추정한다.

고용량 스타틴을 받는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이 약의 전신 노출은 저~중용량스타틴을 투여한 시험대상자보다 약간 낮았다(AUClast 0.74[90%CI 0.29;1.9]). 청소율이 약 20 % 증가하는 것은 PCSK9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스타틴의 작용에 의한 것이며, 이는 지질에 대한 이 약의 약력학적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집단 약물 동태 분석은 스타틴을 병용 투여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비-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 이 약 혈청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선형/비-선형

420 mg을 정맥 내 단회 투여 후, 전신 청소율의 평균(SD)은 12(2) mL/시간으로 추정되었다. 12주에 걸쳐 피하로 반복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140 mg 이상의 용량 투여 요법으로 노출량의 비례 증가가 관찰되었다. 2주 1회 140 mg 투여(Cmin(SD) 7.21(6.6)) 또는 월 1회 420 mg 투여(Cmin(SD) 11.2(10.8))후, 혈청 최저 농도에서 약 2~3배 축적이 관찰되었고, 혈청 최저 농도는 투여 12주까지 정상 상태에 도달하였다.

124주 동안 혈청 농도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신장애

경증 내지 중등증 신장애 환자에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얻은 통합된 데이터의 집단 약동학 분석은 비-신장애 환자와 비교하여 경증 또는 중등증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약동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약은 중증의 신장애 환자에서 연구된 바 없다.

간장애

경증의 간장애(Child-Pugh class A) 환자에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이 약 140 mg 단회 피하투여 용량은 경증의 간장애 환자 8명,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 8명 및 건강한 시험대상자 8명에서 연구되었다. 이 약에 대한 노출은 건강한 시험대상자와 비교하여 약 40~50 % 낮았다. 그러나 베이스라인 PCSK9 수치 및 PCSK9 중화의 정도 및 시간 경과는 경증 또는 중등증 간장애 환자 및 건강한 시험대상자 간에 유사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유사한 시간 경과와 절대 LDL-C 저하의 정도를 가져왔다. 이 약은 중증의 간장애(Child-Pugh class C) 환자에서 연구된 바 없다.

체중

체중은 이 약 최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PK 분석에서 중요한 공변량이지만, LDL-C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2주 1회 140 mg의 반복 피하 투여 결과, 12주 최저 농도는 일반적인 81 kg 시험대상자에 비해 69 kg 환자에서 147 % 더 높게, 93 kg의 환자에서 70 % 더 낮게 나타났다. 이 약 420 mg 의 반복적 피하 월 투여량은 체중의 영향이 적었다.

기타 특수 인구 집단

인구 약동학 분석은 연령, 인종 또는 성별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음을 제시한다. 이 약의 약동학은 LDL-C 저하에 어떠한 주목할 만한 효과 없이 체중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체중에 따른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3) 비임상 안전성 자료

햄스터에서 이 약 월 1회 420 mg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으로 투여했을 때 발암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약의 돌연변이 가능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햄스터 및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 이 약 월 1회 420 mg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으로 노출시켰을 때 수컷 또는 암컷 생식능에 대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 이 약을 월 1회 420 mg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을 투여 시 배태아 또는 출생 후 발달(최대 생후 6개월)에 대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약 투여 3개월 후 키홀림펫헤모시아닌(KLH)으로 면역시킨 사이노몰거스원숭이에서 T-세포 의존 항체 반응이 감소한 것 외에, 이 약을 월 1회 420 mg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을 투여했을 때, 햄스터(최대3개월) 및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최대 6개월)에서 이상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시험에서 관찰된 혈청 LDL-C 및 총콜레스테롤의 감소는 약리학적 효과이고 투여 중단 시 회복되었다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 3개월간 이 약과 로수바스타틴을 병용 투여했을 때, 이 약 월 1회 420 mg 보다 더 높은 용량을 투여했음에도 이상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전의 이 약 단독 투여 시 관찰된 것보다 혈청 LDL-C 및 총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더 컸으며 투여 중단 시 회복하였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밀봉용기, 차광, 냉장(2-8℃)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36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1개 x 프리필드펜(140mg/1 mL)/포장단위
보험약가 052300091 ( 142311원-2018.08.31)

수입실적(단위 : $) ※ 외환은행에서 제공한 년도별 평균환율 적용으로 인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입실적 - 년도, 생산실적
년도 수입실적
2018 179,403
2017 5,376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19-06-11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2 변경일자2019-06-11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순번3 변경일자2019-06-11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4 변경일자2018-08-31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5 변경일자2018-08-31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6 변경일자2018-08-31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특허정보

특허정보 테이블 -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제공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순번1 특허권등재자암젠코리아유한회사 특허권자암젠인크 특허번호 10-1494932-0000 등재일자2017-10-30 존속기간만료일자2029-08-04 상세보기 상세보기
순번2 특허권등재자암젠코리아유한회사 특허권자암젠인크 특허번호 10-1702194-0000 등재일자2017-10-30 존속기간만료일자2028-11-09 상세보기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