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듀오겔0.1%/2.5%
기본정보
성상 | 흰색∼미황색의 불투명한 겔 |
---|---|
업체명 | |
위탁제조업체 | 수탁제조원:Laboratoires Galderma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09-10-07 |
품목기준코드 | 200907303 |
표준코드 | 8806557002908, 8806557002915, 8806557002922, 8806557002939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가수과산화벤조일, 아다팔렌
총량 : 1그램 중|성분명 : 아다팔렌|분량 : 1.0|단위 : 밀리그램|규격 : EP|성분정보 : |비고 :
총량 : 1그램 중|성분명 : 가수과산화벤조일|분량 : 33.3|단위 : 밀리그램|규격 : EP|성분정보 : 과산화벤조일로서25.0밀리그램|비고 :
첨가제 : 프로필렌글리콜,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시멀겔600PHA, 글리세린, 폴록사머124, 정제수, 도큐세이트나트륨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프로필렌글리콜
첨가제주의사항효능효과
9세 이상의 면포, 구진, 농포가 나타나는 여드름의 국소치료
용법용량
환부를 깨끗이 씻고 건조시킨 다음 1일 1회 저녁에 여드름이 있는 부위 전체에 펴바른다. 바를 때에는 손가락 끝을 이용해 눈과 입술을 피해 얇게 펴바른다.
피부 자극이 나타나면 비자극적 보습제를 사용하거나, 도포횟수를 줄이거나(예, 2일에 한 번)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치료를 중단한다.
치료 기간은 의사의 진단에 근거하여 정해지며, 보통 치료시작 1 ∼ 4주 후에 초기 임상적 개선이 나타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일광 화상을 입은 환자는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이 약을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된다.
2. 다음 환자(부위)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손상된 피부(베이고 긁힌 피부), 일광화상, 습진성 피부 또는 지루피부염, 중증의 여드름, 이차 여드름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이 약은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2) 일상적으로 햇빛에 과다하게 노출되는 환자나 선천적으로 햇빛에 민감한 환자(자극이 나타날 수 있다.)
4. 이상반응
1) 도포부위에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기관계 |
빈도 |
이상반응 |
피부 |
자주(≥ 1/100 에서 < 1/10) |
피부 건조, 자극성 접촉피부염, 작열감, 피부 자극감, 홍반, 피부 박리(벗겨짐) |
때때로 (≥ 1/1000 에서 < 1/100) |
가려움, 일광화상 |
|
빈도 불명* |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안면부종, 피부동통(찌르는 듯한 통증), 눈꺼풀 부종, 인후답답함, 수포(물집) |
* 국외 시판 후 조사
2) 이 약의 도포 후에 발생하는 피부 자극감은 일반적으로 경증 또는 중등도로, 국소 내약성 증상과 증후(홍반, 건조감, 박리, 작열감, 피부통증(찌르는 듯한 통증))이 도포 첫 번째 주에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가 그 이후로 점차 자발적으로 사라진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의 사용량을 늘려도 효과가 상승하거나 작용이 빨리 나타나지 않으며 자극감과 발적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상이 나타나면 치료를 중단한다.
3) 태양광선이나 UV광선에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노출을 피할 수 없다면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 자외선차단 의복(모자 등)을 착용하도록 한다. 바람이 불거나 추운 날씨 같은 경우에도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4) 머리카락이나 염색된 옷이 이약에 접촉될시 탈색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5) 다른 레티노이드계와 같이 이 약을 사용하는 피부에는 제모를 위해 전기분해요법, 왁싱, 화학적 제모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6. 상호작용
1) 다른 레티노이드 약물이나 과산화벤조일 또는 작용기전이 유사한 약물과의 병용 사용은 피한다.
2) 박피성 제품, 자극적이거나 건조작용이 있는 화장품과 병용사용시 자극감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아다팔렌은 피부를 통한 흡수량이 적으므로 전신작용 약물과의 상호작용 가능성은 낮다.
4) 과산화벤조일의 피부를 통한 흡수량이 적고 체내에서 신속히 소실되는 벤조산으로 완전히 대사되므로 전신작용 약물과의 상호작용 가능성은 낮다.
5) 황, 레소시놀, 살리실산을 함유한 제품과 병용시에는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7. 임부에 대한 투여
1) 아다팔렌과 과산화벤조일을 임부에게 국소도포한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수집된 소수자료에 근거할 때 임신 초기에 도포한 환자에게서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아다팔렌이 피부를 통해 아주 소량 흡수될 수 있으므로 임부에게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만일 임신이 확인되었거나 추정된다면 치료를 즉시 중지해야 한다.
2) 아다팔렌과 과산화벤조일 복합성분 및 과산화벤조일에 대한 생식독성실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아다팔렌을 랫트에 0.15 ∼ 5.0 mg/kg/day(사람에 대한 최대 권장용량의 25배(mg/m2/day) 이상)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경우 기형발생에 대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다팔렌을 랫트와 토끼에 25 mg/kg/day(각각 사람에 대한 최대 권장용량의 123배와 246배) 이상 용량을 경구투여 시 기형발생이 관찰되었다. 랫트에서는 구개파열, 소아구증(microphthalmia), 뇌류(encephalocele), 골격이상이 관찰되었고, 토끼에서는 안구돌출, 제대탈장(umbilical hernia), 신장과 골격이상이 관찰되었다.
아다팔렌을 랫트와 토끼에 0.6 ∼ 6.0 mg/kg/day(사람에 대한 최대 권장용량의 25 ∼ 59 배 (mg/m2))용량으로 국소적용한 실험에서는 태자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두 동물종에서 과잉늑골 발생이 미량 증가하였고 토끼에서 골화지연이 나타났다.
8.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 아다팔렌 또는 과산화벤조일이 유즙으로 분비되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많은 약물이 유즙으로 분비될 수 있기 때문에 수유부에게 투여시 주의를 요한다.
2) 수유부의 가슴 부위에는 도포하지 않는다.
9. 소아에 대한 투여
9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을 사고로 삼킨 경우에는 적절한 대증요법이 요구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은 외용으로만 사용한다.
2) 눈, 코, 입 및 다른 점막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적용한다. 눈에 들어갔을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물로 완전히 씻어 낸다. 자극이 지속되는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한다.
3) 운전이나 기계조작에 대한 영향이 관찰된 바 없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3. 기타
1) 마우스에 대하여 아다팔렌 외용 1일 용량 0.3, 0.9, 2.6 mg/kg, 랫트에 대하여 1일 경구용량 0.15, 0.5, 1.5 mg/kg(인간 외용 최대 용량의 4 ∼ 75배에 해당)을 가지고 발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구실험에서 암컷 랫트의 경우 포상세포선종과 갑상샘암 빈도, 수컷 랫트의 경우 부신수질의 양성 및 악성 호크롬성세포종 빈도에 양성적인 직선성 경향이 관찰되었다.
2) 아다팔렌의 광발암성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으나 이 성분과 약리학적으로 유사한 약물(예, 레티노이드)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인공자외선 또는 햇빛에 노출된 경우 종양발생의 위험성이 증가되었다. 비록 이러한 연구의 인체적용에 대한 유의성은 확실치 않으나 환자들은 햇빛이나 인공자외선 조사를 피하거나 최소화하도록 권고된다.
이 성분은 일련의 생체내, 생체외 연구에서 변이유발능이나 유전자독성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랫트, 개, 미니피그에 대하여 이 약의 국소 내약성 실험과 피부 반복 투여 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대 13주까지 투여 시 국소 자극이 나타났고 민감도 증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동물에게 복합제형의 아다팔렌을 반복적으로 피부에 도포 시 전신 노출은 매우 낮았고 임상 약물동력학적 결과와 일치하였다. 과산화벤조일은 피부에서 신속히 벤조산으로 전환되고 흡수 후 요로 배설되며 전신 노출은 제한적이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차광 기밀용기, 25℃ 이하 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24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
포장정보 | 제조원 포장단위 |
보험약가 |
수입실적(단위 : $) ※ 외환은행에서 제공한 년도별 평균환율 적용으로 인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년도 | 수입실적 |
---|---|
2018 | 587,957 |
2017 | 1,281,006 |
2016 | 1,223,520 |
2015 | 1,380,128 |
2014 | 1,361,371 |
순번 | 변경일자 | 변경항목 |
---|---|---|
순번1 | 변경일자2017-04-11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2 | 변경일자2016-03-15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3 | 변경일자2014-01-30 |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
순번4 | 변경일자2014-01-30 |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
순번5 | 변경일자2014-01-30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6 | 변경일자2013-08-28 |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
순번7 | 변경일자2013-08-28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8 | 변경일자2012-06-20 |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
순번9 | 변경일자2012-06-20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의 주요제품 목록(24건)
수란트라크림1%(이버멕틴)
일반의약품
2016.05.28
클로벡스스프레이0.05%(클로베타솔프로피오네이트)
일반의약품
2015.07.24
미르바소겔0.33%(브리모니딘타르타르산염)
일반의약품
2015.06.28
에피듀오겔0.1%/2.5%
일반의약품
2009.07.30
라코빈액5%(미녹시딜)
일반의약품
2009.06.28
엘-크라넬알파액0.025%(알파트라디올)
일반의약품
2008.06.28
메트빅스크림160밀리그램/그램(메틸아미노레불린산염산염)
일반의약품
2006.10.28
클로벡스로션0.05%(클로베타솔프로피오네이트)
일반의약품
2005.11.30
클로벡스액0.05%(클로베타솔프로피오네이트)
일반의약품
2005.11.30
트리루마크림
일반의약품
2003.08.03
디페린크림0.1%(아다팔렌)
일반의약품
2002.10.17
로세릴크림(아모롤핀염산염)
일반의약품
2002.10.17
실키스연고3㎍(칼시트리올)
일반의약품
2001.09.29
로섹스크림0.75%(메트로니다졸)
일반의약품
2000.09.15
로섹스겔0.75%(메트로니다졸)
일반의약품
1999.07.22
에피코트리포크림0.127%(히드로코르티손아세포네이트)
일반의약품
1999.07.22
로세릴네일라카(아모롤핀염산염)
일반의약품
1999.07.22
레타크닐크림0.05%(트레티노인)
일반의약품
1999.07.22
레타크닐크림0.025%(트레티노인)
일반의약품
1999.07.22
벤작에이씨겔2.5%(과산화벤조일)
일반의약품
1999.07.22
디페린겔0.1%(아다팔렌)
일반의약품
1999.07.21
데스오웬로션0.05%(데소니드)
일반의약품
1999.07.21
데스오웬크림0.05%(데소니드)
일반의약품
1999.07.21
에피듀오포르테겔0.3%/2.5%(아다팔렌/과산화벤조일)
일반의약품
2018.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