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라문정(무수네비라핀)
기본정보
성상 | 백색의 타원형 정제 |
---|---|
모양 | 타원형 |
업체명 |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희귀) |
허가일 | 1999-01-14 |
품목기준코드 | 199907014 |
표준코드 | 8806535004009, 8806535004016 |
기타식별표시 | 식별표시 : BK090016 장축크기 : 19.3mm 단축크기 : 9.5mm 두께 : 6.5mm 분할선(앞) : - |
첨부문서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무수네비라핀
총량 : 1정중(800.0㎎)|성분명 : 무수네비라핀|분량 : 20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PH101,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콜로이달실리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정제수, 포비돈K25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유당
첨가제주의사항효능효과
면역기능저하가 진행중이거나 진행전인 HIV-1 감염환자에 대한 항바이러스 병용요법
용법용량
네비라핀은 처음 14일 동안 1일 1회, 1회 1정(200mg)을 투여하며(이러한 초기용량투여기간은 발진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어 1일 2회, 1회 1정을 투여한다.
이때, 이전에 환자가 투여받은 일이 없는 항역전사효소를 적어도 2가지 이상 함께 투여한다.
네비라핀은 음식물과 상관없이 투여될 수 있다.
네비라핀을 단독으로 투여하면 내성 바이러스가 획일적으로 빠르게 생긴다. 그러므로 네비라핀은 반드시 병용투여되어야만 한다. 동시에 투여되는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에 대해서는 추천용량을 지켜야 하며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환자는 처방대로 네비라핀을 매일 복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아야한다. 만약 복용을 잊었을 경우 환자는 다음 복용시 이 약을 두배로 복용하지 않아야 하며 가능한 빨리 다음 용량을 복용해야 한다.
환자에게 심한 발진이 나타나거나 발열, 수포, 구강병변, 결막염, 부종, 근육 또는 관절통, 또는 일반적인 불쾌와 같은 체질적인 소견이 발진과 함께 나타나면 네비라핀 투여를 중지해야만 한다.
14일간의 초기용량투여기간에 발진이 나타난 환자는 발진이 해결될 때까지 용량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200mg 1일 1회 투여용법으로 28일을 초과하여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이 경우 다른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요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네비라핀을 투여하기 전에 간기능 검사를 포함하는 임상화학검사를 실시해야만 하며 약물치료기간 중에도 적당한 간격으로 계속 실시한다. 간기능 검사치(GGT제외)가 중등도 또는 중도의 비정상치를 나타날 때에는 네비라핀의 투여를 중지하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 이후에 1일 200mg으로 다시 시작한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용량을 하루 2회로 증가시킨다.
중증도 또는 중도의 간기능 검사치 이상이 다시 나타날 때에는 네비라핀 투여를 이후로 완전히 중단한다.
네비라핀 투여를 7일 이상 중단하다 다시 투여하는 경우에는 1일 1회 1회 200mg으로 14일 동안 투여한 후 1일 2회 1회 200mg으로 용량을 증가시킨다.
간기능이상이나 신기능이상이 있거나 신장투석 중인 환자에 대한 추천용량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16세 이하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네비라핀은 이전에 HIV감염치료를 경험한 적이 있는 의사가 처방해야만 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1) 피부반응: 이 약의 투여로 인해 리엘증후군(중독성표피괴사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피부점막안증후군) 등의 중증 및 치명적인 피부반응이 발현될 수 있으므로, 다음사항에 주의한다.
① 이 약의 주된 이상반응인 발진은 투여개시 후 18주(중증의 발진인 경우에는 6주)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각하고 치명적인 피부반응(스티븐스-존슨증후군과 리엘증후군 포함)의 발현 잠재성을 밝히기 위해 투여개시 후 18주 동안은 환자를 충분히 모니터링하는 등 특히 주의한다.
② 중증의 피부반응이나 발진, 다음의 증상을 수반하는 발진 또는 과민반응의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즉시 의학적 평가를 받도록 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 발열, 물집, 구내병변, 결막염, 안면 및 사지 등의 종창, 근육통, 관절통 또는 전신권태감
③ 이 약의 투여로 중증의 피부반응이나 발진, 전신증상을 수반하는 발진 또는 과민반응의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을 재투여해서는 안된다.
④ 투여를 중지한 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한다.
⑤ 이 약의 투여와 발진의 발현 여부의 상관관계가 의심되면 간기능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결과 간기능 수치가 중등증 또는 중증 상승(AST 또는 ALT가 정상상한치의 5배 초과)으로 확인될 경우, 즉시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⑥ 이 약의 투여로 인해 피부반응을 경험한 환자에게서 드물게 횡문근융해가 발견되었다.
⑦ 14일간의 초기용량투여기간에 발진이 나타난 환자는 발진이 해결될 때까지 1일 2회 투여로 용량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200mg 1일 1회 투여용법으로 28일을 초과하여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이 경우 대체 항역전사바이러스 요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2) 간장애 : 이 약의 투여로 인해 간부전 등의 중증 및 치명적인 간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음사항에 주의한다.
① 투여개시 시점에서는 간기능 검사를 포함한 임상검사를 실시하고, 다시 투여개시 후 6개월간은 적어도 1개월에 1회, 정기적으로 필요에 따라 간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심각한 간염/간부전의 발현 잠재성을 밝혀낼 수 있으므로 투여개시 후 18 주 동안은 특히 주의한다.
② 간장애는 이 약의 투여개시 후 6주 이내에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간기능 이상반응이 나타날 위험성이 있으므로 잦은 간격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간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즉시 의학적 평가를 받도록 한다. 또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GGT 제외)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③ 투여를 중지한 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한다. 몇몇 경우에 치료중단에도 불구하고 간장애가 진행되었다.
④ 이 약의 투여로 간염의 증상 및 증후를 포함한 간장애가 발현된 환자에게는 이 약을 재투여하지 않는다.
⑤ 여성이나 치료초기 단계에서 CD4수치가 높은 환자들은 간기능 이상반응이 발현될 위험이 높다.
⑥ 여러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바 있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의 간독성에 근거해 볼 때 CD4의 수치가 250cells/mm3이상인 성인여성이나 CD4의 수치가 400cells/mm3 이상인 성인남성에게는 치료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지 않는다면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해서는 안 된다.
⑦ 이 약의 투여로 인해 간장애를 경험한 환자에게서 드물게 횡문근융해가 발견되었다.
3) 병용투여 시 주의 할 것: 이 약은 다른 약물의 혈중 노출을 변경시킬 수 있고, 다른 약물 또한 이 약의 혈중 노출을 바꿀 수 있다. 다음의 약물과 이 약을 함께 투여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에파비렌즈, 리팜피신, 케토코나졸
저용량의 리토나비어와 병용되지 않을 경우 : 포삼프레나비어, 사퀴나비어, 아타자나비어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 구성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이 약 투여로 인해 중증의 발진 또는 전신증상을 수반한 발진, 과민반응 또는 간염이 발현된 환자
3) 이 약 투여로 ALT 또는 AST가 정상 상한치의 5배 이상 증가하였고, 재투약시 간기능 수치 이상이 즉시 나타났던 병력이 있는 환자
4) 중증의 간기능 부전(Child-Pugh Class C)환자
5) 이 약 투여 전 AST/ALT가 정상 상한치의 5배를 초과하는 환자의 경우, AST/ALT의 기준치가 정상 상한치의 5배미만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이 약을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6)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7) 이 약을 St John^s wort (학명: Hypericum perforatum)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제제와 병용 투여하면 네비라핀의 혈중 농도가 감소되고 또한 효과가 감소되는 위험이 있으므로, 이 약의 투여 중에는 John^s wort (학명: Hypericum perforatum)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기능 또는 신기능 이상 환자 : 이 약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고 그 대사물은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이 된다. 간기능 부전 환자에 대한 약동학 시험 결과, 이 약은 중등증의 간기능 부전 환자(Child-Pugh Class B)에 투여시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2) 신장투석중인 환자 : 투석을 실시하는 신부전 환자에 대한 약동학 시험 결과 투석에 의하여 이 약의 배설이 증가하기 때문에 매 투석 후 이 약을 200mg 추가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4. 이상반응
1) 이 약의 주된 이상반응은 발진이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피부점막안증후군)이나 드물게 나타나는 리엘증후군(중독성표피괴사증)을 포함하는 중증이거나 치명적인 피부반응은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2%에서 대개 약물투여 처음 6주 이내에 나타난다(표1 참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피부점막안증후군), 리엘증후군 (중독성표피 괴사증), 혹은 과민반응으로 인한 사망 례가 보고된 바 있다. 의사는 환자들에게 이 약과 연관된 주된 이상반응이 발진임을 알려주어야 하며 환자는 발진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발진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물을 투여할 때, 초기용량 투여기간을 두어야 한다. 초기용량투여기간을 지키지 못하면 심각한 피부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처음 그 증후가 나타났을 때 즉시 의사와 상의하지 않으면 더욱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발진은 이 약의 투여유무와 상관없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발현할 위험이 더 높다. 이 약과 연관된 발진은 대부분 약물투여 6주 이내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환자들은 특히 이 기간 동안 발진의 출현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발진은 단독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전신증상(발열, 관절통, 근육통, 림프절 질환)에다가 장기침범증후(간염, 호산구증다증, 과립구감소증, 신기능 장애)를 수반하는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반응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치명적인 경우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피부점막안증후군)이나 리엘증후군(중독성표피 괴사증) 그리고 과민성증후군이 보고된 바 있다.
표 1: 성인에 대한 위약대조군 시험에서 치료 52주동안 발진 발생 위험율(%)
2) 대부분 발진은 경도 또는 중등도로 반점상 구진성 홍반성 피부발진이며 가려움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얼굴, 몸통, 사지에 나타나며, 알레르기반응(아나필락시, 맥관성 부종, 두드러기)이 보고 되었다. 증세와 관계없이 대다수의 발진은 치료 후 6주이내에 나타난다.
3)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게서 사망 례를 포함하여 중증이거나 치명적인 피부반응이 나타난 바 있으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피부점막안증후군), 리엘 증후군(중독성표피괴사증) 및 과민반응이 이에 해당하고 발진, 체질적 증상 및 내장에 관련된 증후로 나타난다. 환자들은 18주간 주의해서 관찰하여야 하며 혹시 발진이 조금이라도 나타나는 지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환자에게 중증의 발진이 나타나거나 발열, 물집, 구강병변, 결막염, 부종, 안면부종, 종창, 근육통, 관절통, 전신권태감, 간기능 수치의 급상승, 호산구증다증, 과립구감소증, 간염, 신장애 또는 다른 내장에 관련된 증후를 동반한 발진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와 상의한다. 이러한 환자에게는 이 약을 재투여하지 않는다. 투여 중지 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한다. 또한 전신증상(발열, 관절통, 근육통, 림프절 질환)을 수반하는 발진과민반응이나 장기침범증후(간염, 호산구증다증, 과립구감소증, 신기능장애) 혹은 다른 장기침범 증후로 나타나는 과민반응이 나타나는 환자에게도 이 약을 재투여하지 않는다. 대부분 중증의 발진은 약물투여 처음 6주 이내에 나타난다. 임상시험에서 네비라핀을 투여 받은 2861명의 환자 중 전반적으로 0.3%(9/2861)에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 나타났다.
4) 프레드니손 1일 40mg을 이 약 투여 초기 14일간 병용 투여한 결과 발진의 발현이 감소하지는 않았다. 이는 이 약 투여 후 6주간 발진의 발현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5)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게서 전격성 간염을 포함하여 황달, 간부전 등 중증이거나 치명적인 간독성이 나타났다. ASAT 또는 ALAT 농도의 증가 및/또는 간염 B 및/또는 C의 혈청양성반응은 네비라핀 및 위약군 모두에서 간 이상 반응의 위험성 증가와 관련있었다. 네비라핀으로 1년 치료시 간 사건의 위험은 간염 B 및/또는 C 음성 환자에서 2% 미만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결과, 이 약을 1년 정도 투여한 경우 간의 이상반응이 일어날 확률은 위약군에 비해 대략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약의 투여후 18주 동안은 충분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이 약과 관련된 간장애는 대부분 투여개시후 6주 이내에 나타난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간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기간 중 지속적으로 환자를 자주 모니터링 해야 한다. 항역전사바이러스치료법을 실시할 때 일반적으로 약물투여 전에 ALT나 AST 검사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2.5배를 초과하거나/하고 간염(B형 및/또는 C형)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간에 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위험성이 높으며 이는 이 약을 포함하는 약물치료법이나 위약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CD4 수치가 높았던 여성 및 환자에게서 간 이상 반응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네비라핀으로 실시한 임상 시험 집단의 분석을 되돌아보면, 흔히 발진을 동반하는 간장애의 발현률은 남성에게서 보다 여성에게서 세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여성 5.8%,남성 2.2%) 특히 이 약의 치료시작시 CD4 수치가 높았던 환자에게서 간장애가 발현할 위험성이 더 높다. 여성의 경우 CD4 수치가 250cells/mm3 초과일 때가 250cells/mm3 미만일 때보다 간장애가 발현할 위험성이 12배 더 높게 나타났고(11.0%대 0.9%), 남성의 경우도 CD4 수치가 400cells/mm3 초과일 때가 400cells/mm3 미만일 때보다 그 위험률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6.3% 대 1.2%) B형간염 및 C형 간염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환자에게 이 약을 1년간 투여한 경우 간에 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확률은 2% 미만이다. 의사는 환자들에게 이 약과 연관된 주요 독성중 하나가 간독성이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하고 환자는 간염의 증후가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만 한다. 간염은 발진을 동반하고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증후도 같이 나타날 수 있다.
6) 약물투여 초기 몇주동안에 간기능 검사치 이상(AST, ALT, GGT, 총빌리루빈, ALP 등 간기능 검사치 상승)이 보고된 바 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은 무증후성 간효소수치 상승인데, 이 때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무증후성 GGT상승 시에도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특히 처음 8-12주 동안은 환자의 임상상태에 비추어 가능한 한 자주 간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후에는 검사빈도를 낮출 수 있다. 만일 치료 전이나 치료 기간 중 AST나 ALT가 정상 상한치의 2.5배 이상 증가하면 간기능 검사를 더 자주 실시하고 투여 전 AST/ALT이 정상상한치의 5배를 초과한 경우에는 AST/ALT가 정상상한치의 5배미만으로 안정화 될 때까지 이 약을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AST나 ALT가 정상상한치의 5배 이상 증가하면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단하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고 간염의 임상적 증후나 진단이 없거나 다른 기관의 기능장애의 지속적인 증후나 소견이 보이지 않는다면 임상적인 필요와 판단에 기초해 경우에 따라서 이 약의 투여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임상병리 수치를 고려하여 재투여 해야 하며 재투여 시 시작용량은 네비라핀 200mg 1정을 1일 1회 14일간 투여하고 이후 네비라핀 200mg 1정을 1일 2회로 증량한다. 만약 간기능 검사치 이상이 다시 빠르게 나타나면 이 약의 투여를 영원히 중단한다.
7) 의사와 환자는 식욕부진, 구역, 구토, 황달, 빌리루빈뇨증, 알코올성 변(alcholic stool), 간비대, 간압통, 중등증-중증의 간기능 검사치이상(GGT제외)과 같은 임상검사소견 등의 간염의 전조증후나 소견을 주의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환자는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바로 의사에게 상의해야만 한다. 만약 임상적으로 간염이 발생하면 이 약의 투여를 영원히 중단해야 한다.
8) 아직 허가받지 못한 효능효과인 사후예방(post exposure-prophylaxis: PEP)효과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다회 투여 받은 HIV 미감염 피험자에서 심각한 간독성(간이식이 필요한 간부전 포함)이 보고된 바 있다.
9) 아나필락시양 증상(발진, 두드러기, 맥관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10) 발진과 간기능 검사치이상 이외에 모든 임상시험을 통하여 이 약과 관련해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이상반응은 구역, 피로, 열감, 두통, 구토, 설사, 복통과 근육통이다. 매우 드물게 빈혈과 호중구 감소증 증례가 이 약과 관련가능성이 있었다. 이 약이 포함된 처방을 받은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관절통이 단독으로 보고된 바 있다.
11) 다른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제와 병용 투여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 췌장염, 말초신경장애, 혈소판감소증. 이러한 이상반응은 다른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제와 관련하여 흔히 나타나며 그러므로 이들 약물과 이 약을 병용투여할 시에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반응들이 이 약 때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12) 네비라핀의 치료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이상 반응은 다음과 같다.
혈액 및 림프계 장애
과립구감소증, 빈혈
면역기계 장애
호산구증가증을 동반한 약물 발진 및 전신 증상, 아나필락시스 반응, 과민 반응 (아나필락시스 반응, 맥관성 부종, 두드러기 포함)
신경계 장애
두통
위장관계 장애
설사, 복통, 구역, 구토
간담도계 장애
간염 (중증 및 생명을 위협하는 간독성 포함), 전격 간염 (치명적일 수 있다), 황달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발진,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중독성 표피 괴사증(치명적일 수 있다), 맥관성 부종, 두드러기
근골격계 및 결합 조직 장애
관절통, 근육통
검사
간기능 검사 이상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증가; 간효소 증가; 과아미노전이효소혈증)
5. 일반적주의
1) 이 약을 단독으로 투여하면 내성 바이러스가 획일적으로 빠르게 생긴다. 그러므로 이 약은 반드시 병용 투여되어야만 한다. 또 병용 투여되는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해서는 추천용량을 지켜야 하며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2)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간기능 검사를 포함하는 임상화학검사를 실시해야만 하며 약물치료기간 중에도 적당한 간격으로 계속 실시한다.
3) 이 약을 투여한다고 해서 성접촉이나 혈액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HIV-1을 감염시킬 위험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4) 자동차나 기계조작능력에 대한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5) 이 약은 HIV-1감염의 치료제가 아니므로 환자가 계속적으로 기회감염을 포함하여 감염진행으로 인한 고통을 받을 수 있으며 환자는 HIV감염치료를 행한 적이 있는 의사에게서 계속적으로 임상증후를 관찰 받아야 한다. 현재 이 약을 장기간 투여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6) 이 약의 투여는 1일 200mg으로 시작해서 1일 400mg을 유지량으로 하여 증량하고, 발진이 발현되는 경우에는 발진이 완치될 때까지 이 약의 투여량을 늘리지 않는다.
7) 데포메드록시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DMPA) 외의 다른 호르몬제는 이 약을 복용하는 여성에게 있어서 출산조절을 위한 유일한 피임방법으로 사용 되어서는 안 된다. 네비라핀은 이러한 약물들의 혈중농도를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폐경 후 호르몬 치료를 이 약의 복용 중에 사용 할 때는 치료효과를 반드시 모니터해야한다.
8) 면역 재구성 증후군 : 이 약을 포함하여 항레트로바이러스 병용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서 면역 재구성 증후군이 보고되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병용 치료 초기 단계에서 면역계가 반응하는 환자는 무증상 또는 잔류성 기회감염(조류형 결핵균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 주폐포자충 폐렴, 또는 결핵 등)에 대한 염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평가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면역 재구성이 진행되는 동안 자가면역질환(그레이브스병, 다발성근염, 길랑바레증후군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발병 시기는 다양하며, 치료 시작 후 몇 달 뒤에 발생할 수도 있다.
6. 상호작용
이 약은 cytochrome P450 간대사효소(CYP3A, CYP2B)의 유도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YP3A나 CYP2B에 의해 주로 대사되는 약물과 병용 투여시 병용약물의 혈중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CYP3A나 CYP2B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 받고 있던 환자에게 이 약 투여를 시작하려면 용량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네비라틴의 흡수는 음식, 제산제 또는 원료의약품 중 알칼리성 완충제가 함유된 의약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호작용 자료의 대부분은 95% 신뢰구간 내의 백분율 변동수치(기하평균) 로 표기되었다.
치료분야에 따른 약품분류 |
상호작용 |
병용 투여 시 권고사항 |
|||
항균제 |
|||||
항역전사바이러스 치료제 |
|||||
뉴클레오사이드계 역전사효소 억제제 (NRTIs) |
|||||
디다노신100-15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 1일 2회투여, 총 14일) |
디다노신 AUC ↔ 디다노신 Cmax ↔ 디다노신 Cmin § |
이 약은 디다노신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라미부딘 15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2회투여) |
라미부딘의 겉보기 청소율과 분포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이로써 네비라핀이 라미부딘의 청소율에 대한 유도 작용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 약은 라미부딘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스타부딘30/4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스타부딘 AUC ↔ 스타부딘 Cmax ↔ 스타부딘 Cmin § 네비라핀: 과거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이 약의 혈중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
이 약은 스타부딘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테노포비르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
테노포비르 수치는 변동이 없었고, 네비라핀 수치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이 약은 테노포비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잘시타빈 0.125-0.25 mg 1일 3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잘시타빈 AUC ↔ 잘시타빈 Cmax ↔ 잘시타빈 Cmin § |
이 약은 잘시타빈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지도부딘 100-200 mg 1일 3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지도부딘 AUC↓24 (↓69 to ↑83) 지도부딘 Cmax↓26 (↓84 to ↑254) 지도부딘 Cmin § 네비라핀: 지도부딘은 네비라핀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약은 지도부딘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비뉴클레오사이드계 역전사효소 억제제 (NNRTIs) |
|||||
에파비렌즈 600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4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에파비렌즈 AUC↓28(↓34 to↓14)a 에파비렌즈 Cmax↓12(↓23 to ↑1)a 에파비렌즈 Cmin↓32(↓35 to ↓19)a
|
이 약과 에파비렌즈를 병용 투여 할 경우 부작용의 위험이 더 높아지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게다가 병용 투여가 NNRTI 단독 투여 보다 유효성도 높지 않다. 이 약과 에파비렌즈의 병용 투여 시(in vitro), 강한 항HIV-1 억제활동이 관찰되었다. |
|||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PIs) |
|||||
아타자나비어/리토나비어 300/100 mg 1일 1회투여 400/100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 mg 1일 2회투여) |
아타자나비어 300/100mg: 아타자나비어 AUC↓42(↓52 to↓29)a 아타자나비어 Cmax↓28(↓40 to↓14)a 아타자나비어 Cmin↓72 (↓80 to↓60)a 아타자나비어 400/100mg 아타자나비어 AUC↓19(↓35 to ↑2)a 아타자나비어 Cmax ↔ 아타자나비어 Cmin↓59(↓73 to ↓40)a (네비라핀 없는 300/100mg과 비교) 네비라핀 AUC ↑25 (↑17 to ↑34)a 네비라핀 Cmax ↑17 (↑9 to ↑25)a 네비라핀 Cmin ↑32 (↑22 to ↑43)a
|
이 약과 함께 투여 시, 아타자나비어는 400mg, 낮은 용량의 리토나비어 100mg과 함께 투여되어야 한다. |
|||
다루나비어/리토나비어 400/1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일 2회투여) |
다루나비어 AUC ↔ 다루나비어 Cmax ↑ 다루나비어 Cmin ↔
네비라핀 AUC ↑27 네비라핀 Cmax ↑ 네비라핀 Cmin ↑47
|
다루나비어/리토나비어는 CYP3A4 억제효과가 있고 그 결과 네비라핀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차이는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 다루나비어와 100mg 리토나비어를 이 약과 병용 투여 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
|||
포삼프레나비어 14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일 2회투여)
|
암프레나비어 AUC↓33(↓45 to↓20)a 암프레나비어 Cmax↓25(↓37 to↓11)a 암프레나비어 Cmin↓35(↓51 to↓15)a 네비라핀 AUC: ↑29 (↑19 to ↑40)a 네비라핀 Cmax: ↑25 (↑14 to ↑37)a 네비라핀 Cmin: ↑34 (↑21 to ↑49)a
|
리토나비어와 포삼프레나비어가 함께 투여되지 않는 한, 포삼프레나비어와 이 약은 병용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
|||
포삼프레나비어/리토나비어 700/1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일 2회투여) |
암프레나비어 AUC ↔ 암프레나비어 Cmax ↔ 암프레나비어 Cmin ↓19 (↓32 to ↓5)a 네비라핀 AUC ↑14 (↑5 to ↑24)a 네비라핀 Cmax ↑13 (↑3 to ↑24)a 네비라핀 Cmin ↑22 (↑10 to ↑35)a |
이 약은 700mg 포삼프레나비어/100mg 리토나비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인디나비어 800mg, 8시간마다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인디나비어 AUC ↓31 (↓64 to ↑30) 인디나비어 Cmax ↓15 (↓53 to ↑55) 인디나비어 Cmin ↓44 (↓77 to ↑39) 네비라핀 혈장 수치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
이 약과 인디나비어의 병용 투여 시 잠재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한 결론은 없다. 인디나비어를 이 약(200mg 1일 2회 투여)과 병용 투여할 때에는 인디나비어의 용량을 8시간마다 1회씩 1000mg으로 증량하는 것을 고려한다. 현재 이 약과 인디나비어 1000mg을 8시간 마다 1회씩 병용 투여하는 것과 800mg으로 8시간 마다 1회씩 병용 투여하는 것이 장단기적으로 항바이러스 효과가 얼마나 다를 지에 대해서는 입증된 데이터가 없다. 요즘은 보편적으로 인디나비어와 RTV 를 병용투여한다. 이 약과 인디나비어/리토나비어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입증된 데이터가 한정되어 있다. |
|||
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 400/1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2회투여) |
HIV 양성환자의 경우: 로피나비어 AUC ↓27 로피나비어 Cmax ↓19 로피나비어 Cmin ↓46
|
비록 이러한 임상적인 관련성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을지라도 이 약과 병용 시 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를 각각 533/133mg(4캅셀) 또는 500/125mg(5정제) 1일 2회)씩 증량하여 음식과 함께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
|||
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 300/75 mg/m2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7 mg/kg 또는4 mg/kg, 1일 1회투여 x 2주 1일 2회투여 x 1주) |
소아환자의 경우: 소아환자에서의 약동학시험 결과는 성인에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로피나비어 AUC ↓22 (↓44 to ↑9)a 로피나비어 Cmax ↓14 (↓36 to ↑16)a 로피나비어 Cmin ↓55 (↓75 to ↓18)a
|
특히 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에 대한 감수성 감소가 의심되는 소아환자에게 이 약을 병용투여할 경우 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의 용량을 300/75 mg/m2 1일 2회까지 증량하여 음식과 함께 투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
넬피나비어 750mg 1일 3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넬피나비어 : 병용 투여한 결과 넬피나비어의 약동학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넬피나비어와 대사산물인 AG1402 총 노출 시 : AUC ↓20 (↓72 to ↑128) Cmax ↓12 (↓61 to ↑100) Cmin ↓35 in (↓90 to ↑316) 네비라핀 : 과거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이 약의 혈장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
이 약은 넬피나비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리토나비어 6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리토나비어 AUC ↔ 리토나비어 Cmax ↔ 리토나비어 Cmin ↔ 네비라핀 : 병용 투여한 결과 네비라핀의 약동학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
이 약은 리토나비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사퀴나비어 600mg 1일 3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21일) |
사퀴나비어 AUC ↓38 (↓47 to ↓11)a 사퀴나비어 Cmax ↓32 (↓44 to ↓6)a 사퀴나비어 Cmin § |
사퀴나비어가 리토나비어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 경우, 이 약은 사퀴나비어와 함께 투여 되어서는 안 된다. |
|||
사퀴나비어/리토나비어
|
사퀴나비어 연질캅셀과 리토나비어 병용 투여 시험의 제한된 자료 결과, 사퀴나비어/리토나비어와 네비라핀 사이의 상호작용은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
이 약은 사퀴나비어/리토나비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티프라나비어/리토나비어 500/200 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2회투여)
|
약물간 상호작용만을 위한 특정한 실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HIV 감염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기 제2상시험의 제한된 시험결과, 티프라나비어 Cmin가 20% 감소되었으며 이 것은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이 약을 낮은 용량의 리토나비르, 티프라나비어와 병용 투여했을 때 유의한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
이 약은 티프라나비어/리토나비르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침입억제제 (Entry Inhibitors) |
|||||
엔푸버타이드 |
CYP450 효소로 대사되는 의약품과 엔푸버타이드의 병용 투여 시, 엔푸버타이드의 대사경로 때문에 유의한 약동학적인 상호작용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약은 엔푸버타이드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마라비록 300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일 2회투여) |
마라비록 AUC ↔ 마라비록 Cmax ↑ (과거 대조군과 비교 시) 네비라핀 농도는 측정되지 않았고, 아무런 효과도 예상되지 않는다. |
이 시험 결과를 과거대조군과 비교할 때, 이 약과 마라비록 300mg을 1일 2회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삽입효소 억제제 (Intergrase Inhibitors) |
|||||
랄테그라빌 |
아무런 임상 자료도 없다. 랄테그라빌의 대사경로 때문에 아무런 상호작용도 예상되지 않는다. |
이 약은 랄테그라빌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항생제 |
|||||
클라리스로마이신 500mg 1일 2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클라리스로마이신 AUC↓31(↓57 to ↑9) 클라리스로마이신 Cmin↓56(↓92 to ↑126) 대사산물 14-OH 클라리스로마이신 AUC ↑42 (↓41 to ↑242) 대사산물 14-OH 클라리스로마이신 Cmax ↑47 (↓39 to ↑255) 네비라핀 AUC ↑26 네비라핀 Cmax ↑24 네비라핀 Cmin ↑28 (과거대조군과 비교 시) |
이 약은 클라리스로마이신 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장애 환자의 대해서는 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그러나,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세포내 복합체(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lpex)를 가진 환자를 치료할 때는 활성 대사산물에 효과가 없으므로 클라리스로마이신에 대한 대체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
|||
리파부틴 150 or 300 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리파부틴 AUC ↑17 (↓53 to ↑191) 리파부틴 Cmax ↑28 (↓44 to ↑195) 대사산물 25-O- 데스아세틸-리파부틴 AUC ↑24% (↓83 to ↑787) 대사산물 25-O- 데스아세틸-리파부틴 Cmax ↑29% (↓67 to ↑400). 네비라핀은 과거대조군과 비교할 때 전신 청소율이 9% 증가하였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이 약은 리파부틴과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환자간 편차가 크기는 하지만 리파부틴 노출시 혈중 농도가 크게 증가했던 몇몇 환자의 결과를 볼 때 혈중 농도가 증가하면 리파부틴 독성의 위험이 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약과 리파부틴과의 병용 투여 시 주의가 요구된다. |
|||
리팜피신 600 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리팜피신 Cmax 및 AUC: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네비라핀 AUC ↓58 네비라핀 Cmax ↓50 네비라핀 Cmin ↓68 (과거대조군과 비교 시) |
리팜피신과 이 약은 병용투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용 투여 시 용량 조절 필요에 관해서는 제한된 자료만이 존재한다. 동반질환으로 결핵균 감염이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처방할 경우는 리팜피신 대신 리파부틴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
|||
항진균제 |
|||||
플루코나졸 200 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플루코나졸 AUC ↔ 플루코나졸 Cmax ↔ 플루코나졸 Cmin ↔ 네비라핀 노출: 이 약과 플루코나졸의 병용투여 결과 이 약을 단독으로 투여 했을 때의 이전 자료와 비교해 볼 때 이 약의 노출이 거의 100%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약의 노출 증가의 위험 때문에 이 약물들이 병용 투여되는 것은 신중해야 하고 투여된 환자들은 긴밀히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
|||
이트라코나졸 200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 mg 1일 1회투여) |
이트라코나졸 AUC ↓61 이트라코나졸 Cmax ↓38 이트라코나졸 Cmin ↓87 네비라핀 : 이트라코나졸은 네비라핀이 약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약과 이트라코나졸의 병용 투여 시, 이트라코나졸의 용량 조절이 고려되어야 한다. |
|||
케토코나졸 400mg 1일 1회투여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케토코나졸 AUC ↓72 (↓95 to ↑101) 케토코나졸 Cmax ↓44 (↓86 to ↑158) 네비라핀 혈장 수치 : 역학대조군과 비교할 때, 15-2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케토코나졸과 이 약은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
|||
제산제 |
|||||
시메티딘 |
시메티딘: : 병용 투여한 결과 시메티딘의 약동학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네비라핀 Cmin ↑7 |
제한된 자료로 미루어 볼 때, 이 약과 시메디틴을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
|||
항응고제 |
|||||
와파린 |
실험실상에서 이 약과 항응고제인 와파린과의 상호작용은 복합적이다. 이 약들이 병용 투여된 결과 혈중 와파린농도는 응고시간의 증가나 감소를 수반하며 변할 수 있다. |
상호작용에 따른 모든 효과는 병용투여 첫 주 동안에 변할 수도 있고 이약의 중단 시점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약과 와파린이 병용투여 되었을 때는 항응고 수치를 자주 모니터링해야 한다. |
|||
피임약 |
|||||
데포메드록시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DMPA) 150mg 3개월마다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DMPA AUC ↔ DMPA Cmax ↔ DMPA Cmin ↔ 네비라핀 AUC ↑20 네비라핀 Cmax ↑20 |
이 약은 DMPA와 병용 투여할 때에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이 약의 병용투여는 DMPA의 배란억제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
에치닐에스트라디올(EE) 0.035mg and 노르에친드론(NET) 1.0mg (1일 1회) (네비라핀 200mg, 1 일 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투여, 총 14일) |
EE AUC ↓20 (↓57 to ↑52) EE Cmax ↔ EE Cmin § NET AUC ↓19 (↓50 to ↑30) NET Cmax ↓16 (↓49 to ↑37) NET Cmin § |
임신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이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경구용 호르몬 피임약만을 유일한 피임방법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 약과 병용할 때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립된 DMPA을 제외한 호르몬 피임약의 상용량은 정해지지 않았다. |
|||
약물남용 |
|||||
메타돈 (네비라핀 200mg 1일1회투여 총 14일; 200mg 1일 2회 투여 7일까지 투여) |
메타돈 AUC ↓65 (↓82 to ↓32) 메타돈 Cmax ↓50 (↓67 to ↓25) |
이 약과 메타돈을 병용 투여하는 환자의 경우, 마약금단증후군이 보고되었다. 메타돈 복용자가 이 약을 투여받기 시작할 때 금단의 증거 여부를 관찰해야 하고, 그에 따라 메타돈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
|||
생약제제 (Herbal Products) |
|||||
St John^s Wort |
네비라핀의 혈청 수치는 생약제제인 St John^s Wort (Hypericum perforatum)와 함께 복용 되었을 경우 감소될 수 있다. 이 것은 St Johns Wort로 인해 약대사효소의 유발 및/또는 수송 단백질 유도 때문에 일어난다. |
이 약을 St John’s wort (학명: Hypericum perforatum)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제제과 병용 투여하면 안 된다. 만약 환자가 이미 St John’s wort 를 복용 중이면, 네비라핀과 가능하면 바이러스성 수치도 확인한 뒤, St John’s wort 투여를 중지한다. 네비라핀 수치는 St John’s wort 중지 시 증가할 수 있고 이 약의 용량은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St John’s wort 중지 이후 유도효과는 최소 2주 동안 지속될 것이다. |
§ = Cmin 시험 검출 수치 이하 Cmin
↑ = 증가, ↓ = 감소, ↔ = 영향없음
a 90% 신뢰구간 (90% PI) 내의 기하평균으로 표기된 자료
* 기타 정보
사람의 간 마이크로좀을 가지고 시험한 결과 답손, 리파부틴, 리팜피신, 트리메토프림, 설파메톡사졸이 있어도 이 약의 수산화대사물의 생성에는 아무 영향이 없었다. 케토코나졸과 에리스로마이신은 이 약의 수산화대사물 형성을 유의하게 저해한다. 임상시험은 아직 실시되지 않았다.
7. 수태능, 임부에 대한 투여
1) 임산부에 관한 적절한 양의 자료(임신 3개월내 노출584명, 임신 6개월/9개월내 노출 1044명을 대상으로 한 2007년 1월 31일자 Antiretroviral Pregnancy Registry 현황)로 봤을 때, 기형이나 태아/신생아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필요에 따라 임신 중 이 약의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2) 임신한 랫트와 토끼를 대상으로 한 시험결과 기형발생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랫트를 이용한 생식독성시험에서 50mg/kg/일 투여(AUC로볼 때, 사람에서의 추천용량보다 50% 고용량)시 태자의 체중감소가 관찰되었다. 쥐와 토끼에서 모체나 개체발생시의 무해용량은 각각 사람에서의 추천용량과 비슷하거나 약 50% 고용량이었다. HIV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임부에게 이 약을 투여한 적절하고 잘 진행된(well-controlled) 임상시험이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3) 1989년 1월 이래로 임신 중 투여에 대한 결과를 조사해 온 US Antiretroviral Pregnancy Registry는 이 약과 관련된 명백한 출생 결함의 징후는 없다고 밝혔다. 노출되거나 관찰된 등록서의 인구 숫자가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결함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반면, 임신 3개월내 노출은 전반적인 출생 결함을 최소 2배 이상 증가시킨다는 위험을 밝혀내기에 충분한 숫자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시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4) HIV-1에 감염된 여성이 분만을 하는 경우, 분만에 의한 생리학적 스트레스 때문에 이 약(200mg 단회투여)의 반감기가 60-70시간으로 연장될 수 있고 경구 청소율이 2.1±1.5L/h로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PACTG 250 임상시험[n=17], HIVNET 006임상시험[n=21]). 네비라핀은 태반을 쉽게 통과하므로 모체에 이 약을 200mg 단회투여한 경우 탯줄에서의 농도는 100ng/mL을 상회하고 탯줄에서의 농도-모체의 혈중농도 비율은 0.84±0.19 (n=36; 범위 0.37-1.22) 이다.
5) 생식 독성 시험 결과, 전신 노출 용량에서 수태능 장애의 증거가 암컷 랫드에서 관찰되었다. 이때, AUC 값은 네비라핀의 권장 임상 용량에서 나타난 AUC 값과 거의 동일하였다.
8. 수유부에 대한 투여
산후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HIV에 감염된 여성들은 수유를 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2개의 약동학 시험(ACTG250, HIVNET 006) 결과 이 약은 쉽게 태반을 통과하며 모유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TG250 시험에서 이 약을 100mg 또는 200mg 투여받은 10명의 HIV-1 감염 임부중 3명에서 모유 샘플을 수집한 경우(중간값: 분만전 5.8시간), 모체 혈청 중 약물농도에 대한 모유중 약물농도의 비율 중간값은 76%(54-104%) 였다. HIVNET 006 시험(n=20) 결과 이 약 200mg 단회투여 후, 모체 혈장중 약물 농도에 대한 모유중 약물 농도의 비율 중간값은 60.5% (25-122%) 였다. 산후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HIV에 감염된 여성들에게 수유를 권장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약을 투여하는 수유부는 수유를 중단해야 한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 과량투여에 대한 해독제는 알려진 바 없다. 하루에 800mg~6000mg의 이 약을 15일간 투여받은 과량투여 보고가 있는데 환자들은 부종, 결절성 홍반, 피로, 열감, 두통, 불면, 구역, 폐의 침윤, 발진, 구토, 트랜스아미나제의 증가, 체중감소를 경험하였다. 모든 증상은 이 약 투여를 중단하면 사라졌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할 것
11. 기타
1) 이 약은 마우스(최고용량 750mg/kg/day)와 랫트(최고용량 35mg/kg/day)에서 간종양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이 약이 강력한 간효소유도제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유전독성에 의한 것은 아니다.
2) 유전독성시험에서, 이 약은 유전자변이 미생물시험을 포함한 시험관내 및 생체시험에서 복귀돌연변이 또는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생식독성시험에서, 이 약의 권장 임상적 용량에 해당하는 양을 투여 받은 암컷 랫트에서 수태능력의 저하가 나타났다. 끝.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단일/복합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 DUR유형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세인트존스워트[네비라핀]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병용 시 항바이러스 약의 치료효과가 떨어지고 내성 발현 가능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아수나프레비르[네비라핀]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아수나프레비르에 대한 바이러스 반응의 소실을 유발 가능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유당 | DUR유형 첨가제주의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
포장정보 | 30, 60, 100, 200정 |
보험약가 | 653500400 ( 6663원-2017.02.01) |
순번 | 변경일자 | 변경항목 |
---|---|---|
순번1 | 변경일자2013-12-29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2 | 변경일자2011-07-06 |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
순번3 | 변경일자2011-07-06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4 | 변경일자2009-11-20 |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
순번5 | 변경일자2009-11-20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6 | 변경일자2007-11-24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7 | 변경일자2006-08-22 |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
한국베링거인겔하임(주)의 주요제품 목록(50건)
글릭삼비정10/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7.01.28
오페브연질캡슐150밀리그램(닌테다닙에실산염)
일반의약품
2016.06.24
오페브연질캡슐100밀리그램(닌테다닙에실산염)
일반의약품
2016.06.24
프락스바인드주사제(이다루시주맙)
일반의약품
2016.01.28
자디앙듀오정12.5/10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자디앙듀오정12.5/85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자디앙듀오정12.5/5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자디앙듀오정5/10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자디앙듀오정5/85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자디앙듀오정5/5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6.00.28
바헬바레스피맷
일반의약품
2015.06.15
자디앙정25밀리그램(엠파글리플로진)
일반의약품
2014.03.28
자디앙정10밀리그램(엠파글리플로진)
일반의약품
2014.03.28
지오트립정40밀리그램(아파티닙이말레산염)
일반의약품
2014.00.28
지오트립정30밀리그램(아파티닙이말레산염)
일반의약품
2014.00.28
지오트립정20밀리그램(아파티닙이말레산염)
일반의약품
2014.00.28
트윈스타정80/1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3.01.28
트라젠타듀오정2.5/10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2.08.29
트라젠타듀오정2.5/85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2.08.29
트라젠타듀오정2.5/50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2.08.29
트라젠타정(리나글립틴)
일반의약품
2011.06.28
프라닥사캡슐110밀리그램(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메실산염)
일반의약품
2011.00.28
프라닥사캡슐150밀리그램(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메실산염)
일반의약품
2011.00.28
트윈스타정80/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0.05.08
트윈스타정40/1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0.05.08
트윈스타정40/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0.05.08
미라펙스서방정0.37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0.01.28
미라펙스서방정0.7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0.01.28
미라펙스서방정1.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0.01.28
알레지온정10밀리그램(에피나스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09.01.01
베로텍정(페노테롤브롬화수소산염)
일반의약품
2009.00.28
알기론정(브롬화시메트로피움)
일반의약품
2009.00.28
모빅캡슐15밀리그램(멜록시캄)
일반의약품
2009.00.28
모빅캡슐7.5밀리그램(멜록시캄)
일반의약품
2009.00.28
스피리바레스피맷(티오트로퓸브롬화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8.11.28
미카르디스플러스정80/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08.08.28
아그레녹스서방캡슐
일반의약품
2006.10.28
아트로벤트엔에어로솔(브롬화이프라트로피움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5.11.11
미라펙스정1.0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4.10.14
미라펙스정0.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4.10.14
미라펙스정0.2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4.10.14
미라펙스정0.125밀리그램(프라미펙솔염산염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4.10.14
미카르디스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02.09.28
미카르디스플러스정40/1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02.09.28
스피리바흡입용캡슐(티오트로퓸브롬화물수화물)
일반의약품
2002.09.28
메탈라제주사40mg(테넥테플라제)
일반의약품
2000.08.28
바이라문정(무수네비라핀)
일반의약품
1999.07.01
미카르디스정80밀리그램(텔미사르탄)
일반의약품
1999.07.01
미카르디스정40밀리그램(텔미사르탄)
일반의약품
1999.07.01
글릭삼비정25/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7.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