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더블유신약발로플록사신정100밀리그램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흰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업체명
위탁제조업체 제이더블유중외제약(주)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15-08-31
품목기준코드 201506172
표준코드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발로플록사신

총량 : 1정(158mg) 중|성분명 : 발로플록사신|분량 : 10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유당수화물, 탤크,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산화티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경화유, 스테아르산칼슘,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유당수화물

첨가제주의사항

1. 유효균종 :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속,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속, 장구균속, 모르가넬라속, 프로비덴시아속, 대장균, 시트로박터속, 클렙시엘라속, 엔테로박터속, 세라티아속, 프로테우스속, 슈도모나스속, 펩토스트렙토코쿠스속, CNS(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아시네토박터속, 클라미디아

2. 적응증 : 단순성 요로감염증(방광염, 요도염 등), 골반내 감염증, 자궁경관염

이 약을 포함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은 중대한 이상반응과 관련이 있으므로 단순요로감염은 다른 치료 방법이 없는 환자에게 사용한다.

1. 단순 요로감염증 (방광염, 요도염 등)

1) 성인 : 발로플록사신으로서 1회 100 mg을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2)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이 40 mL/min 이하의 중증의 신기능 장애 환자) : 이 약으로서 1회 100 mg을 2일 1회 투여한다.

2. 골반내 감염증, 자궁경관염

1) 성인 : 이 약으로서 1회 200 mg을 1일 2회, 7일간 투여한다(골반내 감염증의 경우 증상 개선 정도에 따라 14일까지 복용할 수 있다.).

2)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이 40 mL/min 이하의 중증의 신기능 장애환자) : 이 약으로서 1회 200 mg을 2일 1회 투여한다.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만이 알려져 있을 때는 다음 계산식으로 크레아티닌청소율을 구할 수 있다.

○ 남자 : 크레아티닌청소율(mL/min) = 체중(kg)×(140-나이) / 72×혈장 크레아티닌농도(mg/mL)

○ 여자 : 0.85×남자에 대해 구해진 값

1. 경고

1) 건염, 건파열, 말초신경병증, 중추신경계 효과, 중증 근무력증 악화를 포함한 중대한 이상반응

ㆍ이 약을 포함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은 다음과 같은 증상과 함께 나타나는 장애와 잠재적으로 비가역적인 중대한 이상반응과 관련이 있다.

- 건염 및 건파열

- 말초신경병증

- 중추신경계 효과

ㆍ만약 이와 같은 중대한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환자는 이 약을 즉시 중단하고 이 약을 포함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이 약을 포함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은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경우 근위약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중증근무력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ㆍ이 약을 포함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은 중대한 이상반응과 관련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적응증에 대해 다른 치료 방법이 없는 환자에게 사용한다.

- 급성세균성부비동염(Acute bacterial sinusitis, ABS)

- 만성기관지염의 급성 세균성 악화(Acute bacterial exacerbation of chronic bronchitis, ABECB)

- 단순요로감염(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2) 퀴놀론계 항균제는 신경근육차단 작용이 있어 중증 근무력환자의 경우 증상이 더 심해 질 수 있다. 시판 후 조사에서는 퀴놀론계 항균제를 복용한 중증근무력 환자에게서 사망과 호흡 보조기가 필요한 경우를 포함한 심각한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신중투여항 참조).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다른 퀴놀론계 제제에 대한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사람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3) 유·소아 및 18세 이하의 성장 중인 청소년

4) 퀴놀론계 항생물질과 관련된 과민반응, 힘줄염, 힘줄파열의 병력이 있는 환자

5)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증의 신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1c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 100 mg을 일주일간 반복투여시 크레아티닌청소율이 20 mL/min이하 환자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이 15례중 7례에서 20 %이상 증가하였으므로 심한 신장애 환자는 투여 중 또는 투여 후 신기능 관련 검사수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동이 있는 경우 투약을 중지한다.

2) 간질 등 경련성 질환 혹은 이 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다른 퀴놀론계 항균제가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3) 뉴퀴놀론계 항균제에 대한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4) 고령자

5) 중증 근무력증 환자(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4. 이상반응

1) 쇼크 : 드물게 쇼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2)과민반응 : 때때로 두드러기, 드물게 발진, 발적, 안면부종, 가려움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신장 : 때때로 BUN, 크레아티닌 상승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뉴퀴놀론계 항균제에서 드물게 급성 신부전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4)간장 : 때때로 AST, ALT, LDH, ALP의 상승, 총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여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5)혈액계 : 때때로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호산구 증가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6)소화기계 : 때때로 식욕부진, 복통, 설사, 구역, 연변, 변비, 복부불쾌감, 위불쾌감,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구갈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뉴퀴놀론계 항균제에서 드물게 위막성 대장염 등의 혈변을 수반하는 대장염이 나타나는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복통, 빈번한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한다.

7)정신신경계 : 때때로 어지럼, 드물게 두통, 불면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동일계열약물(플루오로퀴놀론계 항균제)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감각신경 또는 감각운동 축색의 다발신경병증의 결과로 감각이상, 감각저하, 감각장애 및 쇠약 등이 보고되었다.(‘일반적주의 항’ 참조)

8)기타 : 때때로 열감, 심계항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다른 뉴퀴놀론계 항균제에서 드물게 저혈당이 나타나는 (고령자, 특히 신장애 환자에서 나타나기 쉬움) 경우가 보고된 바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이 약 투여군(n = 182)

대조군(n = 101)

구 역

2.7 %

5.0 %

가슴쓰림

1.6 %

3.0 %

변 기

1.1 %

0 %

어지럼

1.1 %

4.0 %

열 감

1.1 %

0 %

소화불량

0.5 %

4.0 %

두드러기

0.5 %

1.0 %

설 사

0.5 %

0 %

구 갈

0.5 %

1.0 %

복부 불쾌감

0.5 %

0 %

위 불쾌감

0.5 %

0 %

가려움

0.5 %

0 %

심계항진

0.5 %

0 %

복 통

0 %

1.0 %

두 통

0 %

1.0 %

식욕부진

0 %

5.0 %

9)요로감염증 환자 283명에 대한 무작위배정·이중맹검 제3상 임상시험에서 시험약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 이상반응은 다음 표와 같다.

10) 산부인과 감염증 환자 288명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제3상 임상시험에서 시험약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 이상약물반응은 다음 표와 같다.

 

이 약 투여군 (n = 141)

대조군 (n = 147)

두통

1.4 %

1.4 %

어지럼

0.7 %

0.0 %

복부불쾌감

0.7 %

0.7 %

상복부통

0.0 %

0.7 %

속쓰림

1.4 %

0.7 %

구역

0.7 %

0.7 %

구토

0.0 %

0.7 %

빌리루빈 증가

0.7 %

0.0 %

γ-GTP 증가

0.0 %

1.4 %

AST 증가

1.4 %

1.4 %

ALT 증가

1.4 %

2.0 %

ALP 증가

0.0 %

1.4 %

불면

0.0 %

2.0 %

졸음

0.7 %

0.0 %

시각이상

0.7 %

0.0 %

가려움

0.0 %

0.7 %

11)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3,1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 증례율은 인과관계 여부와 상관없이 1.2 %(38명/3,174명, 총 53건)로 보고되었고, 보고된 이상반응 중 약과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1.0 %(31명/3,174명, 총 42건)이다. 보고된 이상반응은 약과의 인과관계 여부와 상관없이 위불쾌감 0.2 %(6명/3,174명), 설사, 두통, 소화불량 각 0.2 %(5명/3,174명), 안면부종 0.1 %(4명/3,174명), 구토, 복통 각 0.1 %(3명/3,174명), 질 가려움, 가려움, 구역, 식욕부진, 가슴쓰림 각 0.1 %(2명/3,174명), 피로, 발열, 빈혈, 부종, 호흡곤란, 기침, 어지럼, 졸음, 불면, 복부불쾌감, 복부팽만감, 변비 각 0.1 %(1명/3,174명)로 보고되었다. 이 중 예상하지 못한 이상반응은 졸음, 질 가려움, 기침, 호흡곤란, 부종, 피로, 발열이고, 이 중 중대 이상반응은 호흡곤란, 전신부종, 빈혈이다.

5. 일반적 주의

1)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위험요인이 있는 환자에는 발작 또는 다른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주지시킨다.

3)퀴놀론 투여로 인하여 특히 고령자와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중인 사람에게서 건염과 건파열이 외국에서 보고된 바 있다. 통증, 염증, 건파열이 나타날 경우에는 치료를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리고 건염 또는 건파열이 아님이 확실히 진단될 때까지 휴식을 취하고 운동을 삼가야 한다. 이 약의 사용으로 건파열은 보고되지 않았다.

4)다른 퀴놀론계 항균제에서 QTc 간격 연장이 보고되므로 심질환(부정맥, 허혈성 심질환 등),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이 있는 환자, 항부정맥제(Ia군 또는 III군 항부정맥제) 투여중에 QTc 간격 연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투여시에는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의 사용으로 QTc 간격 연장은 보고되지 않았다.

5) 말초신경병증
동일계열약물(플루오로퀴놀론계 제제)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감각신경 또는 감각운동 축색의 다발신경병증의 결과로 감각이상, 감각저하, 감각장애 및 쇠약 등이 보고되었다. 증상은 이 약의 치료 시작 후 빠르게 나타날 수 있고 비가역적일 수 있다. 작열감, 저림, 무감각, 가벼운 촉각, 통각, 온도, 위치, 진동감각 등의 변화가 수반되는 신경병증의 증상을 경험한 환자는 비가역적인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기위해 이 약의 투약을 중단해야 한다.

6) 시각장애
이 약의 투여와 관련하여 시각 장애가 나타날 시에는 안과의사와 즉시 상담하여야 한다. 몇 개의 관찰연구에서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을 투여하였을 때 망막박리 발생 위험의 경미한 증가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인과관계는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6. 상호작용

1)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제산제와의 병용에 의해 이 약의 흡수가 저하되고 효과가 감소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병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유사화합물(에녹사신 등)에서 펜부펜 등의 페닐초산계 혹은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와의 병용에 의해 흡수가 저하하고 드물게 경련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3)다른 퀴놀론 항균제에서 테오필린과의 병용에 의해 테오필린 혈중 농도를 상승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병용하는 경우에는 테오필린을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4)퀴놀론계 항균제는 당뇨약인 클리벤클라이드와 병용투여 시 심각한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중인 여성에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2)동물을 사용한 생식독성실험 결과, 랫트의 수태능력실험 및 기형발생실험에서 고용량(300 mg/kg)군 태자의 유의한 골화 지연, 토끼의 기형발생실험에서 중용량(10 mg/kg)군 및 고용량(50 mg/kg)군 태자의 유의한 사망율 증가, 고용량군 태자의 유의한 체중감 소와 골화 지연, 랫트의 기형발생실험에서 저용량(30 mg/kg)군 및 고용량(300 mg/kg)군 태자의 유의한 체중감소, 랫트의 주산 수유기 실험에서 고용량(300 mg/kg)군에서 분만일이 다소 지연되는 경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1)다른 퀴놀론계 항균제는 몇몇 어린 동물종에서 관절병증, 뼈연골증을 유발하였다.

2)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는데 고령자는 신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량 및 투여간격 등에 유의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도록 주의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1. 기타

1)다른 뉴퀴놀론계 항균제의 동물실험(어린 개, 어린 랫트)에서 관절 이상이 인정되고 있다.

2) 외국에서 다른 뉴퀴놀론계항균제의 투여에 의하여 드물게 아킬레스건염, 건단열 등의 건장애가 보고되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행하고 이상이 인정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 - 단일/복합 DUR성분, DUR 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정보 제공
단일/복합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DUR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발로플록사신 DUR유형 특정연령대금기 제형정제 금기 및 주의내용 18세 미만 비고 - 안전성 및 유효성 미확립 - 다른 퀴놀론계 항균제는 몇몇 어린 동물종에서 관절병증, 뼈연골증을 유발함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발로플록사신 DUR유형 임부금기 제형정제 금기 및 주의내용 2등급 비고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 동물실험에서 태자의 유의한 골화지연, 사망률 증가, 체중감소, 분만일지연 경향 보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유당 DUR유형 첨가제주의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36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30정/병, 100정/병
보험약가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17-01-06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2 변경일자2017-01-06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3 변경일자2016-11-10 변경항목제품명칭변경
순번4 변경일자2016-05-14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