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글로정50밀리그램(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제미글로정50밀리그램(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낱알이미지 제미글로정50밀리그램(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포장/용기정보 이미지
  • 제미글로정50밀리그램(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낱알이미지
  • 제미글로정50밀리그램(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포장/용기정보 이미지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레몬형의 주황색 필름코팅정
모양 기타
업체명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12-06-27
품목기준코드 201205933
표준코드 8806689021709, 8806689021716, 8806689021723, 8806689021730, 8806689021747
기타식별표시 장축크기 : 7.96mm 단축크기 : 6.43mm 두께 : 3.29mm 분할선(뒤) : -
첨부문서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

총량 : 이 약 1정(128.8밀리그램) 중|성분명 : 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1.5수화물|분량 : 68.9|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제미글립틴으로서 50밀리그램|비고 : 1.5수화물

첨가제 :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102, 미결정셀룰로오스101, 오파드라이 II 주황색 85F43172,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이 약은 인슐린 비의존성(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한다.

1. 이 약은 단독요법으로 투여한다.

2. 이 약은 다음의 경우 병용요법으로 투여한다.

-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경우 이 약을 병용투여한다.

- 이전 당뇨병 약물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으며 단독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이 어려운 경우 메트포르민과 병용투여한다.

- 메트포르민과 설포닐우레아 병용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경우 이 약을 병용투여한다.

- 인슐린 요법(인슐린 단독 또는 메트포르민 병용)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경우 이 약을 병용투여한다.

이 약은 단독요법 또는 병용요법 시 1일 1회 50 mg을 투여하며 1일 최대용량은 50 mg이다. 이 약은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다.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과 병용투여 시에는 저혈당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의 감량을 고려할 수 있다.

신장애 환자에서 용법·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경증 및 중등도의 간장애 환자에서 용법·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본제 또는 다른 dipeptidyl-peptidase 4(DPP4) 저해제에 아나필락시스 혹은 혈관 부종 등의 중대한 과민반응을 보인 환자

2) 제1형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설포닐우레아제를 투여중인 환자

2) 심부전 환자 : New York Heart Association(NYHA) functional class I의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투여 경험이 제한적이므로, 이들 환자에서는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NYHA functional class II-IV 환자에서의 임상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 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3) 중증 간장애 환자: 중증의 간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이들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한다.

4) 급성 췌장염 :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췌장염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중증 복통과 같은 급성 췌장염의 특징적인 증상을 환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만약 투여 시작 후 췌장염이 의심될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며, 다시 투여해서는 안 된다. 췌장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5) 이 약은 황색5호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3. 이상반응

1) 임상시험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실시되므로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이상반응 발생률은 다른 약물의 임상시험에서의 발생률과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없으며, 실제 사용환경 하에서 관찰된 발생률을 반영할 수 없다.

위약대조 단독요법 임상시험 2건을 통합한 분석에서 12~24주간 이 약 또는 위약을 1일 1회 단독투여한 군을 포함하였다. 이 약 50mg 1일 1회 투여군에서 3%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1과 같다.

이상반응명

이 약 50mg 1일 1회

N=126(%)

위약

N=128(%)

관절통(Arthralgia)

6 (4.76 )

0 (0 )

코인두염(Nasopharyngitis)

4 (3.17 )

8 (6.25 )

세균뇨(Bacteriuria)

4 (3.17 )

1 (0.78 )

표 1. 위약대조 단독요법 임상시험에서 이 약 50mg 1일 1회 투여군에서 3%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52주간 이 약 50mg을 1일 1회 단독투여한 환자에서 연장기간(후반 28주)동안 인과관계 평가와 관계없이 보고된 이상반응 중 24주 시험 대비 발생빈도가(환자수) 1% 이상 증가한 이상반응은 코인두염(Nasopharyngitis, 4.44% vs 6.1%), 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1.1% vs 6.1%), 혈중 CPK 수치증가(Blood creatine phosphokinase increased, 2.22% vs 4.88%)가 있었고, 24주 시험 대비 새로 보고된 이상반응 중 2명(2.44%) 이상에서 발생된 이상반응은 없었다.

24주간 진행된 1건의 활성약대조 추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메트포르민의 안정된 용량에 이 약 50mg 1일 1회 또는 25mg 1일 2회 또는 시타글립틴 100mg을 1일 1회 병용투여하였다. 3%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2와 같다.

 

이상반응명

이 약 50mg

1일 1회

N=140(%)

이 약 25mg

1일 2회

N=141(%)

시타글립틴 100mg 1일 1회

N=140(%)

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8 (5.71)

4 (2.84)

6 (4.29)

코인두염(Nasopharyngitis)

7 (5)

11 (7.8)

4 (2.86)

혈중 Amylase 수치증가(Blood amylase increased)

5 (3.57)

0 (0.00)

1 (0.71)

Lipase 수치증가(Lipase increased)

5 (3.57)

6 (4.26)

3 (2.14)

발열(Pyrexia)

3 (2.14)

6 (4.26)

3 (2.14)

표 2. 활성약대조 추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52주간 메트포르민과 이 약 50mg 1일 1회를 추가 병용투여한 환자에서 연장기간(후반 28주) 동안 인과관계 평가와 관계없이 보고된 이상반응 중 24주 시험 대비 발생빈도가(환자수) 1% 이상 증가한 이상반응은 설사(Diarrhoea, 0.71% vs 2.7%),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0.71% vs 1.8%), 저혈당(Hypoglycaemia 0.71% vs 2.7%), 어지러움증(Dizziness, 0.71% vs 3.6%), 구역(Nausea, 1.43% vs 2.7%)이 있었고, 24주 시험 대비 새로 보고된 이상반응 중 2명(1.8%) 이상에서 발생된 이상반응은 무력증(Asthenia, 1.8%), 근육통(Myalgia, 1.8%)이 있었다.

24주간 진행된 메트포르민과 초기병용 임상 시험에서 이 약 50mg과 메트포르민을 각각 단독 투여로, 이 약 50mg과 메트포르민을 병용투여로 모두 1일 1회 투여하였다. 3%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3와 같다.

표 3. 메트포르민과 초기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이상반응명

이 약 50mg/메트포르민

N=141 (%)

이 약 50mg

N=142 (%)

메트포르민

N=150(%)

소화불량(Dyspepsia)

13 (9.22)

7 (4.93)

10 (6.67)

코인두염(Nasopharyngitis)

12 (8.51)

19 (13.38)

18 (12)

어지럼증(Dizziness)

7 (4.96)

3 (2.11)

1 (0.67)

설사(Diarrhoea)

6 (4.26)

0 (0)

11 (7.33)

이상지질혈증(Dyslipidaemia)

4 (2.84)

7 (4.93)

3 (2)

두통(Headache)

4 (2.84)

5 (3.52)

3(2)

변비(Constipation)

1 (0.71)

5 (3.52)

1 (0.67)

요통(Back pain)

0 (0)

1 (0.7)

8 (5.33)

24주간 진행된 글리메피리드와 메트포르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이 약 50mg을 추가 병용투여한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4와 같다.

표 4. 글리메피리드와 메트포르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추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이상반응명

이 약 50mg

N=107

위약

N=111

코인두염(Nasopharyngitis)

7 (6.54)

5 (4.50)

저혈당(Hypoglycaemia)

9 (8.41)

3 (2.70)

어지럼증(Dizziness)

4 (3.74)

3 (2.70)

이 약의 투여로 활력징후 또는 ECG(QTc 간격 포함)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2주간 진행된 중등도 및 중증 신장애 환자에게 이 약 50mg을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5와 같다.

표 5. 중등도 및 중증 신장애 환자의 단독 또는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이상반응명

이 약 50mg

N=66 (%)

위약

N=66 (%)

저혈당증(Hypoglycaemia)

7(10.61)

5(7.58)

고혈당증(Hyperglycaemia)

2(3.03)

3(4.55)

고칼륨혈증(Hyperkalaemia)

2(3.03)

1(1.52)

코인두염(Nasopharyngitis)

4(6.06)

4(6.06)

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2(3.03)

1(1.52)

관절통(Arthralgia)

1(1.52)

2(3.03)

등통증(Back pain)

1(1.52)

2(3.03)

어지러움(Dizziness)

0(0)

3(4.55)

두통(Headache)

2(3.03)

0(0)

변비(Constipation)

2(3.03)

2(3.03)

설사(Diarrhoea)

2(3.03)

1(1.52)

52주간 이 약 50mg 1일 1회를 투여한 중등도 및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연장기간(후반 40주) 동안 인과관계 평가와 관계없이 보고된 이상반응 중 12주 시험 대비 발생빈도가(환자 수) 3% 이상 증가한 이상반응은 저혈당(Hypoglycaemia, 8.0% vs. 16.0%), 고혈당증(Hyperglycaemia, 2.0% vs. 6.0%), 코인두염(Nasopharyngitis 6.0% vs. 14.0%), 관절통(Arthralgia, 4.0% vs. 10.0%), 등통증(Back pain, 2.0% vs. 6.0%)이 있었고, 12주 시험 대비 새로 보고된 이상반응 중 2명(4.0%) 이상에서 발생된 이상반응은 손발톱진균증(Onychomycosis, 4.0%), 위장염(Gastroenteritis, 4.0%) 근육연축(Muscle spam, 4.0%), 가슴불편감(Chest discomfort, 4.0%), 가려움증(Pruritus, 6.0%)이 있었다.

인슐린 단독 또는 메트포르민과의 병용으로 투여 받은 환자 중 적절히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 50mg 또는 그 위약을 1일 1회 24주간 추가 병용투여한 임상시험에서 3.0%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6과 같다.

표 6. 인슐린과 병용 또는 인슐린 및 메트포르민과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0%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연구자의 인과관계 평가와 무관)

이상반응명

이 약 50mg

N=192 (%)

위약

N=96 (%)

증상을 동반한 저혈당(Symptomatic Hypoglycaemia)

11(5.7)

5(5.2)

증상을 동반한 고혈당(Symptomatic Hyperglycaemia)

10(5.2)

6(6.3)

코인두염(Nasopharyngitis)

9(4.7)

2(2.1)

인두염(Pharyngitis)

7(3.6)

1(1.0)

저혈당

이 약 50mg 1일 1회로 12주~24주간 진행된 단독요법 임상시험 2건에서 저혈당은 2명(1.59%)이 보고되었고, 24주간 진행된 메트포르민과의 추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1명(0.71%)이 보고되었다. 이 약 50mg을 1일 1회 메트포르민 최대 2000mg과 초기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저혈당은 3명(2.13%)이 보고되었다. 이 약 50mg 1일 1회로 52주간 투여 시 연장기간(후반 28주) 동안 보고된 저혈당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3명(2.7%)이 있었다. 글리메피리드와 메트포르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이 약 50mg을 1일 1회 추가 병용투여한 임상시험에서 저혈당은 10명(9.35%)이 보고되었다. 중등도 및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12주간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저혈당 발생률은 이 약 50mg 투여군에서 9명(13.6%), 위약군에서 6명(9.1%)이 보고되었으며, 위약 투여군을 리나글립틴으로 변경한 총 52주간 활성대조 연장 임상시험 기간 동안 보고된 저혈당은 이 약 50mg 투여군에서 10명(20.0%), 활성대조군에서 15명(28.9%)이었다. 보고된 저혈당은 대부분 경증이었고 모두 회복되었다.

인슐린 단독 또는 메트포르민과 병용투여로 적절히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 이 약 50mg 또는 그 위약을 1일 1회 24주간 추가 병용투여 한 임상시험에서 저혈당 발생률은 이 약 50mg 투여군에서 29명(15.1%), 위약군에서 15명(15.6%)이 보고되었다. 이 중 증상을 동반한(Symptomatic) 저혈당의 발생률은 이 약 50mg 투여군 11명(5.7%), 위약군 5명(5.2%)으로 경증 또는 중등증이었고 모두 회복되었고 대부분 이 약과 관련은 없었다.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Asymptomatic) 저혈당의 발생률은 이 약 50mg 투여군 21명(10.9%), 위약군 10명(10.4%)이었다.

과민반응

24주간 진행된 활성대조 추가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메트포르민의 안정된 용량에 이 약 25mg 1일 2회 투여군에서 연장기간(후반 28주) 동안 이 약 50mg 1일 1회로 변경하여 복용한 군에서 과민반응이 2명(1.71%) 보고되었고, 이 약과 관련은 없었다.

수포성 유사천포창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입원을 필요로 하는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보고되었다.

2)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발현 빈도

기관계

중대한 이상사례 0.36%(11/3,036명, 15건)

드물게

(0.1% 미만)

위장관계 장애

급성췌장염

호흡기계 질환

만성폐쇄성기도질환, 천식악화, 호흡곤란

전신적 질환

피로, 가슴통증

심근, 심내막, 심막, 판막 질환

협심증

투여부위 장애

연조직염

혈소판, 출혈, 응고 장애

두개강내출혈

때때로

(0.1% ~ 5% 미만)

전신적 질환

전신쇠약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3,0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8.17%(248/3,036명, 총 328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인과관계와 상관 없는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다음의 표에 나열하였다.

발현빈도

기관계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3.66%(111/3,036명, 144건)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10%(3/3,036명, 3건)

드물게

(0.1%

미만)

위장관계 장애

위창자내공기참, 급성췌장염, 위궤양, 잇몸부기, 치아질환, 치주염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다발신경병증, 감각이상, 눈떨림, 신경통, 척추관협착

 

호흡기계 질환

가래질환, 부비동염, 만성폐쇄성기도질환, 천식악화, 호흡곤란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발진, 진균피부염, 피부염, 두드러기, 지루성피부염, 피부질환

발진

간 및 담도계 질환

간염, 감마-GT증가, 지방간

 

대사 및 영양 질환

전해질이상

 

근육-골격계 장애

골격통, 골다공증, 골관절염, 인대장애

 

비뇨기계 질환

방광염, 혈중크레아티닌증가, 급성신부전, 단백뇨, 신경인성방광, 요도협착

혈중크레아티닌증가

전신적 질환

피로, 가슴통증, 다리통증, 독감유사증후, 체중증가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멀미, 상세불명의귀질환, 이명

멀미

시각장애

녹내장, 알레르기결막염

 

자율신경계 장애

식욕부진

 

적혈구 장애

빈혈, 엽산결핍, 철결핍빈혈

 

심근, 심내막, 심막, 판막 질환

협심증

 

심장박동 장애

두근거림, 부정맥

 

일반적 심혈관 질환

고혈압악화, 혈압상승

 

정신 질환

불면증

 

투여부위 장애

연조직염

 

혈소판, 출혈, 응고 장애

두개강내출혈, 타박상

 

내분비 질환

갑상샘염

 

백혈구, RES 장애

백혈구증가증

 

생식기능 장애(남성)

양성전립선비대증

 

생식기능 장애(여성)

불규칙월경

 

기타 용어

찢긴상처

 

때때로

(0.1% ~ 5% 미만)

위장관계 장애

복통, 위식도역류

 

호흡기계 질환

기침, 비염, 기관지염

 

간 및 담도계 질환

ALT증가, AST증가

 

3) 시판 후 국내외 자발보고

다음은 이 약의 시판 후 추가로 확인된 이상사례(Adverse Event)이다. 이러한 이상사례는 불특정 다수의 인구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된 것이기 때문에 발생빈도를 신뢰성 있게 예측하거나 약물노출과의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 구토, 두드러기, 말초부종, 발진, 스티븐스-존슨증후군, 얼굴부종, 입술부기, 저혈당 반응, 췌장염, 폐렴

4. 일반적 주의

1) 저혈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약과의 병용투여: 다른 혈당저하제와의 병용투여가 전형적으로 그렇듯이, 이 약과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을 병용투여 시 저혈당이 관찰되었다.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에 의한 저혈당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의 감량을 고려할 수 있다.

2)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후 조사에서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이 보고되었다. 약물 투여 이후 증상의 발생시기는 1일 후부터 수년 후까지 다양하였다. 약물 투여 중지 시에 증상은 완화되었다. 일부 환자에서는 동일한 약 또는 다른 DPP-4 저해제를 다시 복용시에 증상의 재발이 나타났다. 중증관절통의 원인으로 DPP-4 저해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3) 수포성 유사천포창 :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입원을 필요로 하는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보고되었다.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DPP-4 저해제 투여중지 및 국소 또는 전신 면역억제제 치료로 회복되었다. 환자들에게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수포 또는 짓무름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알려야 한다. 만약,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위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4) 과민반응 : 시판 후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중증의 과민반응이 보고되었으며, 이 반응은 스티븐스-존슨증후군을 포함한다. 만약 심각한 과민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반응에 대한 다른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하며 다른 당뇨 치료요법을 실시한다.

5. 상호작용

1) 이 약은 CYP3A4에 의해 주로 대사된다. In vitro 시험에서 CYP1A2, 2A6, 2B6, 2C9, 2C19, 2D6, 2E1및 3A4 대사효소를 저해하지 않았으며, CYP1A2, 2C8, 2C9, 2C19 및 3A4 대사효소를 유도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약은 위 대사효소들의 기질인 약물과 약물상호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 이 약은 in vitro 시험에서 P-당단백(P-gp)을 유도하지 않았고 P-당단백 매개수송을 고농도에서 약하게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 약은 임상용량에서 P-당단백의 기질인 약물과 약물상호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

2) 이 약의 다른 약물에 대한 영향

이 약은 약물상호작용 연구에서 메트포르민, 피오글리타존, 글리메피리드, 로수바스타틴, 다파글리플로진 및 엠파글리플로진의 약동학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시험에 근거하여 이 약은 CYP2C8, CYP2C9, CYP3A4 및 유기양이온 수송체(OCT)의 기질인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① 메트포르민: 이 약 50mg과 OCT1과 OCT2의 기질인 메트포르민 2,00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메트포르민의 최고혈중농도는 13% 감소하였으나, 혈중 AUC는 변하지 않았다.

② 피오글리타존: 이 약 200mg과 CYP2C8 및 3A4의 기질인 피오글리타존 3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피오글리타존의 최고혈중농도는 17%, 혈중 AUC는 15% 감소하였으나, 피오글리타존 활성대사체들의 최고혈중농도와 혈중 AUC는 변하지 않았다.

③ 글리메피리드: 이 약 50mg 반복투여 후 정상상태에서 CYP2C9의 기질인 글리메피리드 4mg을 단회 병용 투여 하였을 때 글리메피리드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④ 로수바스타틴: 이 약 50mg과 CYP2C9 및 3A4의 기질인 로수바스타틴 2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로수바스타틴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⑤ 다파글리플로진: UGT1A9의 기질인 다파글리플로진 10mg 을 이 약 50mg 과 병용투여 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다파글리플로진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⑥ 엠파글리플로진: UGT2B7, UGT1A3, UGT1A8 및 UGT1A9의 기질인 엠파글리플로진 25mg 을 이 약 50mg 과 병용투여 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엠파글리플로진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3) 이 약에 대한 다른 약물의 영향

메트포르민, 피오글리타존, 로수바스타틴, 다파글리플로진 및 엠파글리플로진은 약물상호작용 연구에서 이 약의 약동학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케토코나졸은 약물상호작용 연구에서 이 약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다른 CYP3A4 저해제들도 이 약과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리팜피신(리팜핀)은 약물상호작용 연구에서 이 약의 체내노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강력한 CYP3A4 유도제(예: 리팜피신(리팜핀), 덱사메타손,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리파부틴, 페노바르비탈)와의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① 메트포르민: OCT1과 OCT2의 기질인 메트포르민 2,000mg과 이 약 5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② 피오글리타존: CYP2C8 및 3A4의 기질인 피오글리타존 30mg과 이 약 20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③ 케토코나졸: CYP3A4의 강력한 억제제인 케토코나졸을 1일 1회 400mg으로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하고, 이 약 50mg을 단회투여 하였을 때, 모약물과 대사체의 약리적활성을 고려하여 합산한 약리활성체는 케토코나졸과 병용 시 약 1.9배 증가하였다.

④ 리팜피신(리팜핀): CYP3A4의 강력한 유도제인 리팜피신(리팜핀)을 1일 1회 600mg으로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하고, 이 약 50mg을 단회투여 하였을 때, 이 약의 최고혈중농도는 59%, 혈중 AUC는 80% 감소하였다. 이 약 활성대사체의 최고혈중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았고 혈중 AUC는 36% 감소하였다.

⑤ 로수바스타틴: 이 약 50mg과 CYP2C9 및 3A4의 기질인 로수바스타틴 20mg을 정상상태에 도달하도록 반복투여 하였을 때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⑥ 다파글리플로진: UGT1A9의 기질인 다파글리플로진 10mg 을 이 약 50mg 과 병용투여 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⑦ 엠파글리플로진: UGT2B7, UGT1A3, UGT1A8 및 UGT1A9의 기질인 엠파글리플로진 25mg 을 이 약 50 mg 과 병용투여 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이 약의 약동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6.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① 임부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임상시험 결과는 없으므로 임부에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② 동물시험 결과, 이 약은 임신한 랫드에 투여 후 2시간에 최대 48.1%, 토끼에서는 투여 후 2시간에 최대 1.6%가 태반을 통과하여 양수에서 검출되었으므로 임부에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사람 모유에 분비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동물시험에서 이 약은 랫드에서 혈장과 유즙에서 1: 4~10비율로 분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 이 약을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사용경험이 없음).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의 임상 제2상과 제3상 시험에 참여한 환자(총 1,605명) 중 65세 이상인 고령자는 306명(19.1%)이였다. 고령자에서의 안전성 유효성은 젊은 환자와 유사하였다. 고령자는 일반적으로 간장, 신장 기능 등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신중히 투여하여야 한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이 약 50mg을 일일 600mg까지 10일 반복투여 한 경험이 있다. 이 약 일일 600mg을 단회 투여한 연구에서 심박동 증가가 한 건 관찰되었다. 사람에서 일일 600mg을 초과하여 투여한 경험은 없다.

과량투여 시에는 일반적인 대증치료(예를 들면 흡수되지 않은 약물을 위장관계로부터 제거하고 심전도를 포함한 임상모니터링을 실시)를 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조적인 치료를 실시한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보관한다.

11. 기타

1) 암수 랫드에서 50, 150, 450 mg/kg/day 의 용량으로 2년간 수행된 발암성 시험에서, 암수 모두에서 어떠한 종양 발생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 용량은 AUC를 근거로 비교할 때, 인체 최대권장용량 50 mg/day 의 거의 129 ~ 170 배에 해당되는 노출량이다. 암수 유전자변형마우스를 대상으로 이 약을 수컷에는 200, 400, 800 mg/kg/day, 암컷에는 200, 600, 1200 mg/kg/day 용량으로 6개월간 투여한 발암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인체 최대권장용량의 약 87배에 해당하는 1200 mg/kg/day에서 어떤 장기에서도 종양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2) 이 약은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 돌연변이(Ames) 시험, 체외염색체 이상 시험, 랫드 및 마우스에서 평가한 체내소핵시험에서 이상변이를 일으키지 않았다.

3) 랫드의 수태능은 800 mg/kg까지 영향이 없었다. 랫드에서 200 mg/kg/day, 토끼에서 300 mg/kg/day까지 최기형성이 없고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는 각 인체최대권장용량의 83배, 153배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4) 랫드에서 800 mg/kg/day (인체최대권장용량의 약 264배)을 경구투여 시 고용량일수록 새끼에서 구개열 기형, 신우확장 변이, 흉선 형태 이상 변이가 증가되었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 - 단일/복합 DUR성분, DUR 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정보 제공
단일/복합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DUR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제미글립틴 DUR유형 임부금기 제형정제 금기 및 주의내용 2등급 비고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 동물실험에서 태반통과 보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제미글립틴 DUR유형 용량주의 제형정제 금기 및 주의내용 50밀리그램 비고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48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30정/병, 300정/병, 28정(14정/PTP x 2), 56정/PTP(14정/PTP x 4)
보험약가 668902170 ( 772원-2018.04.01)

생산실적(단위 : 천원)

생산실적 - 년도, 생산실적
년도 생산실적
2018 37,239,462
2017 32,753,997
2016 31,513,689
2015 19,708,264
2014 13,930,804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19-09-04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2 변경일자2019-06-21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3 변경일자2019-06-20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4 변경일자2019-01-22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5 변경일자2019-01-22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6 변경일자2019-01-22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7 변경일자2016-07-1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8 변경일자2016-01-15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9 변경일자2016-01-15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10 변경일자2016-01-15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1 변경일자2015-10-19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12 변경일자2015-10-19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13 변경일자2015-10-1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4 변경일자2015-03-06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순번15 변경일자2013-10-29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순번16 변경일자2013-10-2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7 변경일자2012-08-29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순번18 변경일자2012-08-2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특허정보

특허정보 테이블 -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제공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순번1 특허권등재자(주)엘지화학 특허권자(주)엘지화학 특허번호 10-1446789-0000 등재일자2014-12-15 존속기간만료일자2031-10-28 상세보기 상세보기
순번2 특허권등재자(주)엘지화학 특허권자(주)엘지화학 특허번호 10-0776623-0000 등재일자2012-11-09 존속기간만료일자2030-01-11 상세보기 상세보기